[초록]

분석 결과 국내 체류 중국인 유학생들의 미디어 이용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3개 특성으로 나뉘었다. 미디어 이용은 ‘힐링의 공간’, ‘향수병 치유’, ‘현지어와 문화 학습’ 등의 목적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유형1은 미디어를 힐링의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이 유형에 포진한 유학생들은 심심할 때, 할 일이 없을 때, 재미를 얻고자 할 때 미디어를 이용하며 시간을 보냈다. 유형2는 미디어를 향수병 치유로 간주하였다. 이 유형은 외로울 때, 혼자라는 고독감을 느낄 때, 고국에 있는 가족들이 그립고 보고 싶을 때 미디어를 이용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얻었고, 이 유형에서는 여학생의 비중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유형3은 미디어를 현지 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하며 현지어를 익히는 학습의 도구로 인식하였다. 이 유형은 원활한 언어적 소통 욕구를 보유하였고 현지어 학습에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였으며 남학생의 수가 더 많았다.


This study found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used the media for different purpose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3 types: healing, overcoming homesickness, and learning the local language and culture. Those in Type 1 perceived the media as a space for healing. The students in Type 1 passed the time by using the media when they were bored, had nothing else to do, or wanted to have fun. Those in Type 2 regarded the media as a means of overcoming homesickness. They relied on the media for psychological comfort when they were lonely, felt all alone, or missed their family back home. It was noticeable that more femal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ype 2. Those in Type 3 perceived the media as a learning tool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local culture and learn the local language. They had a desire to communicate linguistically fluently, and often used the media to learn the local language. More mal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ype 3.


저자                               기대호 (원광대학교)

                                     김희주 (인천대학교)

                                     김선남 (원광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주관성연구학회


발행연도                        2024


형태사항                        주관성 연구

                                     제66호

                                     71 - 88 (18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