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Covid-19 기간 중에도 매 학기 한국어를 가르치는 대학의 외국인 등록생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생활을 탐색해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들의 지역 적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은 물론 이들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한국어 교원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근거 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수업에서의 적응·부적응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 현상의 원인은, 대부분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모국에서 한국어능력시험과 문법 위주의 암기식 학습을 경험했고, 한국에서는 대학 입학을 위해 문어체 위주의 밀도 높은 수업을 짧은 시간 내에 이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수업 내용과 교실 밖 지역어의 차이로 학습 무력감을 경험했기 때문이었다. 한국어 수업 적응·부적응 결과는 첫째 사회 생활과 학업에 모두 적응하는 지역·학습 적응 성공형, 둘째 학업에는 적응하였으나 사회적으로 고립된 생활을 하는 지역·학습 고립 성공형, 셋째 학업과 사회적 생활에 모두 미숙함을 보이는 지역· 학습 부적응 미숙형으로 전개되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수업에서의 적응은 지역 적응과 학습 성공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수업의 부적응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지역어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성을 고려한 주제와 과제로 한국어 수업을 구성해 보기를 제안한다.


Even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that teach Korean every semester has steadi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ves of foreign students and to discover the main factors to construct a plan to help them adapt to their local area.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reign students as well as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were in close contact with them.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mos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experienced Korean proficiency tests and grammar-oriented learning by rule memoriz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While in Korea, it is not only because they had to complete intensive classes centered on written language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enter a university but also because they experienced a sense of helplessness due to differences in class content and the local language outside of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adaptation and maladaptation to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first, a successful learning style in which students adapted to both social life and academic life; second, a learning style in which students successfully adapted to the school environment but which left them socially isolated; and third, a style in which the students showed immaturity in both academic and social life, which resulted in a failure in learning how to adapt to their localit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dapt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leads to local adaptation and learning succes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maladaptation phenomen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this study proposes to organize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topics and tasks considering locality.

저자          정연숙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박창언 (부산대학교)

                 강주현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교육학연구

                 제60권 제6호

                 173 - 213 (41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