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국제화에 의한 사람들의 이동은 한편으론 우리에게 국경이라는 것을 무의미한 것으로 인식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의 역사나 민족이라는 인식을 강화시키기도 한다. 최근 한국에서 유학생이 급증하는 것과 문화갈등도 그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저출산이나 경제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과 각 대학의 생존경쟁은 국제화라는 이름 아래서 유학생 유치를 급속하게 진행시켜 왔다. 이러한 정책은 한편으론 학생들에게 국경을 넘은 새로운 만남이나 친구관계를 제공해왔지만 반면에 민족의식의 강화나 일부의 유학생들에 대한 배타적인 감정을 강화시킨 일도 무시할 수 없다. 유학생의 증가는 전남대학교 기숙사에서도 불특정의 사람들이 서로 공생해야 하는 상황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후에도 유학생의 증가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으로, 새로운 문화의 유입을 거부할 수는 없다. 우리가 살아남는 길은 공존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유학생 문제에서 차이를 강조하기만 하는 단순한 민족성 개념이나, 문화차이라는 틀로만 검토하는 게 아니라 그것을 벗어나는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학생과 유학생이 같이 일상생활을 하는 기숙사 공간에서의 정체성 갈등을 바라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했다. 첫 번째,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에서 어떤 적응이나 갈등 형태를 보이는가? 두 번째는 그러한 적응이나 갈등에 의해 구성되는 정체성은 어떤 정체성의 정치를 전개하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유학생이 기숙사 공간에서 적응과정은 언어나 민족, 종교 등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한국이라는 주류파 문화에 적응하려는 시도를 통해 기숙사에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재구성했다. 또 이 정체성은 개인적 정체성과 집단적 정체성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유학생의 개인적 정체성은 주류파인 한국인 문화에 적응하려고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유학생들은 주류문화의 적응과정과 동시에 본인들을 인정해주는 다른 집단을 찾으려고도 한다. 특히 유학초기라는 새로운 문화와의 접촉기에 있는 유학생들의 경우, 아직 익숙해지지 않는 한국문화나 의사소통에 의한 스트레스, 유학생활이라는 고독감 등의 불안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 집단화인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공통 언어를 사용하는 같은 민족이나 언어권 사람을 찾으려고 하는 식의 행동을 보였고, 또 주변에 그러한 사람이 없는 유학생은 민족이나 언어 대신 종교나 외국인이라는 공통성을 근거로 한 새로운 집단의식을 만드는 것으로 동질집단을 조직화했다. 그것으로 정신적인 안정을 도모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했다. 이러한 그들의 정체성은 공간이나 시간,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지고 위치화 작업을 통해 일시적으로 본인과 그 정체성을 연결시킨다.
그런데 2007년의 기숙사로의 유학생 대량유입은 한국인 학생들에게 정체성의 위기를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배타적 인식은 이전부터 기숙사에 살고 있던 소수파 유학생들에게 새롭게 온 다수파 유학생과의 차별화나 배타의식을 강화시켰다. 이 위기를 통해 기숙사 내에서 한국인 집단, 유학생 소수파, 유학생 다수파라는 세 종류의 집단이 형성되었다. 그 과정에서 민족성과 언어능력이라는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이 두 가지 유학생 집단 사이에 나타난 집단적 정체성의 갈등은 기숙사 공간 내에서 살아남기 위한 유학생들의 정체성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Due to movement of people according to internationalization, borders are recognized to be insignificant but, on the other hand, recognition of history or a nation is intensified. Recent surge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consequent cultural struggles may be one of the phenomena. Measures of Korean government against falling birthrate or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struggle for existence of colleges have rapidly promoted inducement of foreign students under the name of internationalization. These policies have presented new, cross-border encounters or friendships for students, bu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y promoted intensific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exclusivism on some foreign students. Due to surge of foreign students, unspecified people should live together within the dormitory of Chonnam University. Becaus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s constant, it is not possible to refuse the inflow of new cultures. Coexistence is the only way to survive. Therefore, when the problems on foreign students are considered, it is needed to examine areas other than simple conception of nationalism on which differences are focused or a frame of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identify the identify conflicts within the space of dormitory where Korean and foreign students live together, the author in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ypes of adaptation or conflic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Second, how is the identity establishment developed by the identity formed from such adaptation or confl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ocess of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in dormitorie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diverse variables including languages, nations, and religions, but the students reestablished new identities in the dormitory through attempting to adapt Korean society as the mainstream culture. These identities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 and collective identities.
The personal identity of foreign students can be an attempt to adapt the mainstream culture of Korean students. Besides adaptation to mainstream culture, foreign students also attempt to discover another group in which they are acknowledged. In particular, for foreign students who are in contact period with new culture in their early study abroad, collectivization is a way of avoiding anxiety from the stress by unfamiliar Korean culture or communication and loneliness from living in a foreign country. The foreign students showed behaviors to discover their own people or those who use the same language, and the students who fail to discover such people around them organized a peer group by forming a new collective consciousness based on common properties such as religion or being a foreigner, rather than nation or language. By doing this, they created mental stability and confirmed their positions. Their identities as foreign students are varied from where they are, when it is, or how the situation is, and they temporarily connect themselves with those identities through positioning.
The surge of foreign students into the dormitory in 2007 created a moment when Korean students felt crisis in identity. Their exclusive recognition on foreign students made the minor foreign students who already lived in the dormitory intensify differentiation or exclusivism on the major foreign students who were new in the dormitory. Because of the crisis, three groups including Koreans, the minor foreigners, and the major foreigners were formed within the dormitory, and in the process, nationality and language ability served as significant factors. The conflicts of collective identities shown between the two foreign student groups may be the identity strategy of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survive within the dormitory.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0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기타서명

    Space of Daily Life and Identity

    Conflicts of Foreign Students

    from Various Countries:Centerd

    on Dormitory of Chonmam University

  • 형태사항

    vii, 113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정기
    참고문헌 : p. 105-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