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한국어 교육과정은 일반적인 교육과정의 하위 분야에 해당하므로 한국어 교육과정도 일반적인 교육과정의 큰 틀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과정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 사회의 사회적 공감이 형성되어야만 하고 그 설계에 대한 압력이 존재해야 하는데, 국내외 외국인 학습자가 그 규모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그 학습자들의 배우려는 목적도 매우 다양해짐으로 인해 각각의 목적에 맞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이미 형성되었다. 사회적 공감과 압력을 통하여 그 설계가 필요한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는 이러한 다양한 목적에 적합하게 하위 교육 과정 항목이 구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학문 목적의 교육목표는 일상생활의 한국어 이외에도, ‘범전공’ 영역, ‘전공 기초’ 영역, 그리고 세부적인 전공과목에서 사용되는 ‘전공’ 영역, 그리고 범학문적 수학 기능 등을 반영하는 교육 목표가 세분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 목표는 영역별로 세분화되어야 하며[‘발음, 어휘, 문장, 담화 차원’의 문법 영역이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기술 영역(Skill)] 등급(초급-고급)별로 단계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 내용도 교육 목표에 따라 명세화되어야 하는데, 예컨대 범학문적 수학 기능 신장을 목표로 하는 경우 대학 강의 듣기, 전공 등에 필요한 담화 표지나 ‘세미나 토론, 실험 실습, 문헌 연구’등과 관련된 표현과 절차에 대한 교육 내용이 기술되어야 한다. 역시 ‘교육 방법, 교육 순서, 교육 시수, 교육량, 교육 평가’도 학문 목적이라는 큰 틀 아래에서 명세적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As the Curriculum of Korean For Foreign Learners is included in under the general Curriculum, it should be defined in a large frame of education. Social consensus must first be formed. The pressure for the design shall exist in order to establish a Korean language course. Not only has foreign learners increased the extent to which they are not expected, but the goal of the learner is very diverse. Social pressure has already been formed for the needs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each purpose. If the situation is such,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constructed of sub-curriculum’s items for these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Academic objectives should be subdivided into classes in addition to the Korean language of everyday life,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at reflect the fields of ‘cross-major areas, basic major areas and major subjects, and cross-learnig functions, which are used in detail in the detailed subjects. These objectives should be subdivided into areas of interest as grammatical domains such as pronunciation, vocabulary, sentence, and skills of speaking dimensions, speaking, speaking, and writing according to levels of learners. Training content should also be document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For example, the objectives to developing learning skills for cross-academical domains should be reinstructed in the contents specific to study expressions and procedures for listening university’s lecture, major, etc. or seminar, experimental Lab and literature, etc. Educational methods, education routines, education hours, education assessment, and educational assessment should also be explicitly stated under the large framework of academic obj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