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신라 하대 많은 승려와 학생들이 당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신라 말의 유학자 崔致遠은 그러한 행위와 활동을 ‘西學’이라 명명하였거니와, 최치원이 말한 서학은 한마디로 ‘中國學 學習運動’이라 할 수 있다. 서학의 그러한 의미는 고려후기까지 꾸준히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서학은 종래의 의미를 잃고 대신 중국 중심적 사고방식에서 案出된 ‘서양의 학술과 종교’라는 새로운 의미로 변하였다. 아울러 종전의 서학은 실학자 朴齊家에 의하여 北學으로 재정립되었다.
신라 하대 서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구법승들은 당나라 곳곳을 돌아다니며 고승ㆍ대덕을 찾아 당의 선진 불교를 배웠고, 유학생들은 국자감의 여러 전공과정에 들어가 유교이론과 문장 그리고 각종 전문기술을 공부하였다. 뿐만 아니라 신라 견당사들은 당의 학술과 기예를 익혔다. 그리고 이들은 대부분 신라로 돌아와 자신들이 당에서 배우고 익힌 학술과 사상을 신라에 전파하였다.
신라 하대 서학을 통한 중국문화의 수입과 전파는 한국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우선 신라 하대 서학은 오늘날 한국 불교계를 주도하고 있는 선종불교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신라의 유학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그리고 서학은 혁신적인 선종사상을 호족들에게 제공하고 개혁 성향의 지식인들을 양산함으로써 고대 골품제사회를 붕괴시키고 중세의 개막을 앞당기는 데도 기여하였다. 그러면서도 서학은 신라인들이 당 문화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경향을 부추김으로써 幕華思想을 확산시키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Many Silla people went T'ang China to study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the late period of Silla dynasty. Choi-chiwon(崔致遠) who was a Confucian scholar named the work of going T'ang for study Seohak and generalized it as a learning Sinology movement. By the way, the meaning of Seohak was changed into the conception of a western science and a thought owing to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in the late period of Choson dynasty.
At any rare Sill a people practiced Seohak actively. Buddhist monks traveled T'ang China for studying Zen Buddhism and Confucian scholars went T'ang to study Confucianism. Moreover Kyondangsa(遣唐寺) of Silla learned a knowledges and accomplishments during their stay in Tang. The greater parr of them returned to Silla and introduced Chinese culture into their country.
The Chinese culture which was introduced by the agency of Seohak activity had a influence on Korean history. First, Seohak made a form the basis of development of Zen Buddhism which play a leading part in Korea Buddhism seers toady and produced an elevation of Confucianism. Second, Seohak broke down the ancient Kolp'um society and moved up the beginning of medieval society. Third, Seohak incited Silla people to admire Chinese culture and offered the groundwork of cherishing China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