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 결과, 쓰기 태도의 하위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 쓰기인식, 쓰기수행, 수행태도 순으로 평균값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 요인(학년, 성별, 숙달도, 어학원 학습 경험)과 외국인 유학생의 쓰기 태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특히 한국어 숙달도가 높아져도 쓰기 태도에 대한 변화가 없었는데,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한국어 숙달도와 쓰기 태도는 그 연관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로 쓰는 것 자체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교수자 및 연구자들은 쓰기 관련 정의적 요인 함양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는 그에 따른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verage writing attitude in each sub-category, the average value was highly shown in the order of writing awareness, writing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ttitude.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one-way ANOVA and t-test, the factors(school year, gender, proficiency, learning experience in language school) and writing attitude of foreign students were not significant. Especially, whe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got higher, there were no changes in writing attitude. This result means the low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writing attitude.


 Thus, the professors and researchers targeting foreign studen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affective factors related to writing, so foreign students could form positive attitude toward writing in Korean. The future researches would need to also discuss the education measures.

저자                               주월랑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반교어문학회


발행연도                        2023


형태사항                        반교어문연구

                                     제63호

                                     185 - 208 (2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