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1990년 이후 한·중 수교 및 문호개방으로 양국의 교류는 경제교류에서 문화교류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유학정책이 ‘보내는 유학’ 에서 ‘받아들이는 유학’으로 정책전환을 시도하며, 고등교육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교육시장개방과 국제화전략을 통해서 아시아 교육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국의 교류확대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대한 노력의 결과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 유학생이 급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에 급격히 증가한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두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재한 중국 유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대학생활 적응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이중 성실히 연구에 참여해준 116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변인은 문제지향과 문제해결기술이었고,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은 학업적응, 사회적응, 정서적응, 대학환경 적응 이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성별에 대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수준이 높았으며,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적인 상황에서 문제해결능력과 기술을 좀 더 많이 갖추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수 있다.
둘째,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학년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알아본 결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두 하위 요인 즉 문제지향과 문제해결기술 모두에서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해 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사이의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지, 학업적응에 있어서 여학생이 좀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넷째, 학년별 대학생활 적응에서는 학업적응 수준과 대학환경 적응수준에서 4학년이 제일 높았으며, 2학년이 제일 낮았다. 정서적응은 3학년이 제일 높았고, 2학년이 제일 낮았으며, 사회적응 수준은 4학년이 제일 높았고, 3학년이 제일 낮았다.
다섯째, 학년별로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정서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업적응에서는 2학년과 4학년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회적응에는 학년별 차이가 없었고, 대학환경 적응에서는 2학년과 4학년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문제지향이 대학생활 적응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제지향이 각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문제지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사회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지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대학환경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기술이 높은 사람들은 정서적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해결기술이 높은 사람은 대학환경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 적응 상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갈등을 치료하고 해결하는데 직결되어 대학생활 적응을 높인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대학생활 적응이라는 두 변인의 관계만을 알아보았을 뿐이다. 재한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심리적 요인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이외에 다른 심리적인 요인들이 추후 연구에서 계속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Since the agreement of Korean-Chinese diplomatic association and open-door policy after 1990,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expanded to economic exchange. Moreover, Korea's abroad-studying policy has switched from 'sending abroad' to 'receiving from abroad', trying to build a superior high-school education system market and an Asian-education hub through the opening of education system market and internationalization. As the result of the two countries' increasing interchange and the policy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who come to Korea for studying has increased over the past several years.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level of Chinese students'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adapt to university life while studying in Kore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the questionnaire abou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djusting to Korean university life was completed by 140 Chinese students, and the data of 116 students who sincerely participated the study was put to final analysis. The sub factors fo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were problem-orient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 The sub factors for adjusting to university life were academic-adaptation, social-adaptation, emotional-adaptation and university environment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ly, in the asp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of the Chinese students, female students had highe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compared to male students. This shows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capable of using bette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kill in social circumstances.
Secondly, in the asp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academic yea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years in all the sub factors of problem-orient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
Thirdly, in the aspect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of the Chinese students, there was a minor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were better in academic adaptation, but this was not a notable difference.
Fourthly, in the aspect of academic-adaptation level and university environment adaptation level i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academic years, fourth-graders were the highest and second-graders were the lowest. In emotional-adaptation, third-graders were the highest and second-graders were the lowest. In social-adaptation, fourth-graders were the highest and third-graders were the lowest.
Fifthly, in the aspect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academic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adaptation. However, in academic-adaptation,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second-graders and fourth-graders.
Sixthly, in order to research how problem-orient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affects the level of university adaption, the influence by problem-orientation on each sub factor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ones with the high marks in problem-orientation were found to be capable of high social-adaptation and problem-orientation. Moreover, the ones with high problem-solving skills were found to be low at emotional-adaptation, while high at university environment adaptation.
As a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directly corresponds to the treatment and solution of stress and conflicts which come from university life, thus enhancing university life adaptation.
However,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ly the two factors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ere may be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ffect the Chinese students'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erefore,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other tha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hould be researched further in other studi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