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강의를 수강한 유학생들은 어문규범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넘어 심화, 비판적 이해가 모두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맞춤법 강의 내용 중 유학생에게 어렵거나 관심이 큰 항목도 알 수 있었던바 이는 두음법칙, 사이시옷, 준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해와 인식 양상에 근거하여 맞춤법을 내용으로 하는 강의가 단지 맞춤법에 맞도록 쓰는 것에서 나아가 한국어 언어문화를 기반으로 한 종합 교양강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 보았다. 따라서 맞춤법을 원리적으로 탐구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되, 맞춤법 검사기나 생성 AI 등의 디지털 도구 활용 역량까지 교수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방향에 맞도록 교육 내용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who attended the lecture were able to go beyond a basic understanding of linguistic norms. 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d difficult or highly interesting topics related to spelling, such as the first sound initial law, saishiot, and abbrevi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lectures on orthograph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comprehensive liberal arts courses with a focus on Korean language culture that go beyond a simple language course. Therefore, students must be taught not only how to examine and critically understand Korean orthography, but also to use digital tools such as spelling checkers and generative AI. The content of orthography lectures must be systemized in this direction.

저자                               최유숙 (중앙대학교)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발행연도                        2023


형태사항                        교양학 연구

                                     제23호

                                     33 - 59 (27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