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3명의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에 오기 전부터 한국어를 지인과 미디어를 통해 익혔고,말하기에 강점을 보였으나 글쓰기와 한자 습득에 어려움을 보였다.둘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인과 정기적으로 교류하며 친밀한 관계 형성하고 있었다.셋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 음식과 관련된 관용구와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편이었으며,한국식 인사 문화에도 잘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고,무엇보다 한국의 드라마를 좋아하였다.그러나 친해지면 우즈베키스탄보다 반말을 빠르게 사용하는 한국 젊은이들의 문화에는 익숙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넷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가 들어간 음식은 적응하기가 어렵다고 하였고,고향에서 배우거나 미디어를 통해 배운 한국어와 실제 한국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말이 많이 달라 어색함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이들은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부분에서는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학교 행정이나 포털 사이트 적응에 어려움을 보였다.

 The results of an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Uzbek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Uzbek students learned Korean through acquaintances and media even before coming to Korea and showed strength in speaking but difficulty in writ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econd, Uzbek students regularly interacted and formed close relationships with Koreans. Third, Uzbek students had a high understanding of Korean food-related idioms and culture, tried to actively accept Korean-style personnel culture, and above all, enjoyed Korean dramas.
 However,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he culture of young Koreans who spoke informally and quickly when they became close. Fourth, Uzbek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adapt to food containing pork for religious reasons, and they felt awkward because the Korean language learned in their hometown or through the media was radically different from that used by young Koreans. They also had difficulties dealing with school administration and adapting to portal sites, and they faced substantial difficulties getting a part-time job.

저자                               조남현 (숭실사이버대학교)

                                     김보영 (명지대학교)


발행기관                        한국 리터러시 학회


발행연도                        2023


형태사항                        리터러시 연구

                                     제14권 제3호 통권 53호

                                     33 - 64 (32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