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관련한 선행 연구들은 문어 자료에 치중되어 있고, 자연스러운 산출을 통한 언어 자료가 아닌 문법성 판단 테스트 등을 통해 언어 양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구어적특성이 나타나는 다양한 언어 양상을 기대하며 시작되었다. 유학생은 모두 79명으로 베트남, 중국, 우즈베키스탄, 터키, 몽골, 일본, 대만, 러시아에서 왔으며, 3-4명이 한 팀을 이루어 자연스러운 대화를나누었다. 그 결과 2,634 문장, 17,994 어절의 자료를 얻을 수 있었고 거기에 나타난 ‘-(으)ㅁ’ 명사절, ‘-기’ 명사절, ‘-는 것’ 명사절로 구분하여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는 것’ 명사절이 다른 두 개의 명사절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출현하였고, 구어적 특성을 드러내는 표현도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구어 및문어의 문체에 어울리는 적절한 표현을 산출할 수 있게 하는 교육적 처치와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한명사절에 후행하는 서술어를 목록화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written materials and used grammaticality judgment tests, lacking natural language data. This study addresses these limitations and explores diverse language aspects in spoken discourse. Participants include 79 international students from Vietnam, China, Uzbekistan, Turkey, Mongolia, Japan, Taiwan, and Russia, engaging in natural conversations in small teams. As a result, a total of 2,634 sentences and 17,994 words were collected, and the usage aspects were examined by categorizing them into ‘-(으)ㅁ’, ‘-기’ and ‘-는 것’ noun clauses. The "-는 것" noun clauses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expressions reflecting spoken language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producing appropriate expressions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styles, and analyz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listing predicate verbs following noun clauses.

저자                               최보선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발행연도                        2023


형태사항                        문화와융합

                                     제45권 제7호

                                     57 - 70 (1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