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 문화적응을 겪는 중국 유학생이 인식하는 주관적 관점에서 소시오드라마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적응 과정에 어려움을 겪는 중국 유학생들에게 문화적응의 향상을 지원하는 지지체계로서 소시오드라마를 효과적인 사회복지 실천 개입방법으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질문은 “문화적응을 겪는 중국 유학생의 소시오드라마 경험은 어떠한가?”였다.
연구 참여자는 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서울에 소재한 4년제 대학 및 대학원생 총 12명을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의 연령은 24세에서 28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26세였고, 남자 2명, 여자 10명이었다. 체류기간은 2년부터 6년까지로 평균 4년이었다.
연구 자료는 사전면접과 소시오드라마 실연 5회기를 실연한 후 사후 일대일 심층면접을 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Colaizzi 현상학적 방법을 따라 연구 참여자가 소시오드라마에서 나타난 언어적인 요소와 비언어언적인 모습들을 관찰하고 축어록을 만들어 기술하였다. 기술된 내용에서 의미를 찾고, 좀 더 추상적인 특성을 묶어내어서 주제별로 묶었다.
연구결과, 중국 유학생은 한국 유학생활을 하면서 한국 문화 속에 적극적으로 들어가 수용하고 경험하는 것이 아니었다. 한국어가 부족하여 자신감이 없었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였다. 24시간 밤 문화가 특징인 한국과 중국의 술과 음식문화의 차이, 한국 학생과 친구를 사귀거나 교수와의 술자리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고, 선후배 문화가 확실한 한국 문화에 대하여 존칭을 사용하지 않는 것에 대한 어려움, 학업과 취업의 편견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한국인 친구를 사귀가 쉽지 않았고 혼자 지내거나 중국 유학생들과만 어울리고, 위로하며, 한국의 문화와 대학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학교생활 수업이나 팀 프로젝트에서 왕따를 당하는 경우가 흔히 있는 일이었다. 이러한 점으로 한국에서의 유학생활은 참고 견디는 과정을 겪고 있었다.
소시오드라마를 통하여 참여자들은 신문지를 찢는 행위, 역할 바꾸기 기법을 활용한 행위, 평소에 하지 못하는 행위, 역할연기를 통한 행위, 벽에 천을 던지고, 소리 지르고 욕하는 행위, 보조자아와 다른 참여자가 역할을 통해 배운 행위, 속마음 및 무생물 역할 등 비언어적 행위를 표출하였다.
소시오드라마를 경험한 후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는데, 한국인과 중국 유학생을 서로 이해하게 되고, 취업 문제와 어려움을 대처하는 훈련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역할 모델을 통해 한국에서 어려움을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웠다. 정서의 변화를 경험하였고 자기성숙과 성장의 계기가 되고 깨달음을 갖게 되었다. 새로운 나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하고 감정을 행위로 표현하여 시원함을 느꼈다. 평소에 하지 못했던 행동을 표출하였고 상처와 두려움이 없어지는 효과를 경험하였다.
문화적응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소시오드라마를 한국 학생이나 다른 유학생에 권유하기도 하였다. 문화적응력도 향상의 필요성을 알게 되어 우리는 함께 살아가는 사회라는 것과 한국 문화에 적극 다가가고, 수용하고, 적응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의 소시오드라마의 경험은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하면서 겪는 문화적응의 어려움과 차별에 대한 과정을 다시 상기하고, 자신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보고, 한국인과 만나고, 중국과 한국 문화의 문화 차이를 서로 이해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중국 유학생이 소시오드라마의 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본질 주제는 “긍정적인 한국 문화의 이해와 인식의 변화”임을 알 수 있었다.
소시오드라마는 말보다는 행위로 돕는 방법이므로 한국어가 부족한 중국 유학생에게 변화를 나타냈으므로 언어상담 개입에 어려운 당사자나 중국 유학생 및 다문화 등의 내담자에게 접근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장 사회복지사의 소시오드라마에 대한 중요성 인식 증진과 교육과 공연 및 워크숍 등을 통하여 소시오드라마에 대한 활성화와 소시오드라마 전문가 양성도 필요하다. 또한 각 대학교의 외국인 지원 센터나 학생 상담연구소에서는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향상에 관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시오드라마는 말보다는 행위로 돕는 방법이므로 집단사회복지 실천의 한 방법으로 시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활용한다면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sociodrama experience in terms of the subjective awareness among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undergoing acculturation in Korea. This study was thus conducted to make the use of a sociodrama as a support system for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having difficulty in an acculturation adaptation process and thereto as effective social work intervention.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What is like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undergoing acculturation to experience an sociodrama?”
A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 total of 12 were selected, who were four-year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aged between 24 and 28. Their mean age was 26 years. The population consisted of 2 males and 10 females. The lengthy of stay was 2 - 6 years, with 4 years on average.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 - to - face in-depth interviews after the demonstration of five secessions of sociodrama. Following Colaizzi phenomenological method, verbal components and non-verbal components that had appeared in the participants were observed and described using an interview record created. An effort was made to capture the meaning out of the contents described, group more abstract contents, and classify these contents by topic.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from China did not actively approach, accept, and experience Korea culture while studying in Korea. They responded that due to a lack of Korean, they had no confidence and were unable to express their feelings.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wine and food culture between China and Korea featuring 24 - hours night life, they did not know what to do with making friends with Korean students and with a drinking party with their professors.
They said that they also had difficulty in using honorific titles in Korean culture where a hierarchy between juniors and seniors must be complied among them. They were also found out to get stressed because of the biases in studies and in the process of finding a job. They answered that it was not easy to make friends with Korean students and so they spent alone or just associated with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omforting each other. They found it difficult to adapt to Korean culture and college life. It was usual for them to be bullied in school classes or team projects. This suggests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ay regard their studying abroad in Korea as an enduring process.
Through a sociodrama, the participants expressed non-verbal behaviors such as tearing newspaper, changing roles, doing what they don’t usually do, doing role-playing, throwing cloth towards the wall, screaming and swearing, doing what they have learned playing an auxiliary ego and other participants’ roles, expressing their real intention, and playing a role as a lifeless. After experiencing a sociodrama, they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other words, they came to understand the common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s and the Chinese, gain confidence through the training on how to deal with problems with finding a job and difficulties, and learn how to cope with difficulties in Korea through their role model. They experienced a change in sentiment, found it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elf-growth and maturity, and became enlightened. And they also found their new look and felt cool expressing feelings into an act. They expressed what they had not usually done and an effect that their hurt and fear disappeared.
In addition, they even recommended Korean students or othe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sociodrama that can be helpful in improving acculturation adaptation. As they also realized the need to improve their acculturation adaptation, they came to understand that they would have to make an effort to actively approach, accept and adapt to Korean culture.
Thus, to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ociodrama experience may mean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a process of the discrimination in terms of the difficulty that they have experienced since they started studying abroad in Korea, think about themselves, and get an mutual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Korea. Therefore, it was found out that the nature theme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had recognized through sociodrama experience was “positiv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changes in the awareness.”
A sociodrama is an helpful strategy through behaviors, rather than through words, and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lacked Korean skills. Thus, it appears that a sociodrama is a good intervention approachable to such clients as those who are difficult to intervene through language counselling, 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multicultural student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hat the foreigner support centers and student counseling institutes under individual university suppor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n improving their acculturation adapta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sociodrama is a helpful strategy through behaviors, rather than through words. Therefore, the use of a sociodrama is expected to be very effective for community social work.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14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 판사항(6)

  • DDC

    36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v, 134 p. ;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 중국 유학생

    연구 참여 동의서 ;

    중국 유학생 연구

    참여 동의서(중국어용) ;

    일반적 사항과 면접지침서
    참고문헌: p. 1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