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지지, 적극적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설정하고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성 및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225명(남자 99명, 여자 126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 지각된 사회적지지 척도, 대처방식 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AMOS 18.0을 이용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먼저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보통상 수준이었다.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보통상 수준이었으며, 중국인의 지지가 한국인의 지지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적극적 대처방식은 보통상 수준으로 소극적 대처방식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소극적 대처와 정적 상관을,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적극적 대처는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학생활적응은 적극적 대처 및 사회적지지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모형을 설립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영향을,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영향을 주었다. 한편 사회적지지는 적극적 대처방식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정적영향을 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djustment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Korea.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acculturative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y were investigated by using SE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225 Chinese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Korea (99 men and 126 women) completed Acculturative stress Scale, University adjustment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and Coping strategy Scal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MO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 (1)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of Chinese students was in normal range, and the level of University adjustment was higher than average.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higher than average, and social support from Chine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rom Korean. The level of Active coping strategy was higher than average, and active coping was more used than passive coping. (2)Acculturative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assive coping, and negatively 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adjustment. Active coping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adjustment. University adjustmen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ct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3)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was entirely supported.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correlated. Acculturative stress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university adjustment. Also, moderating effect of active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adjustment was identifi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