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개괄하고 오류 유형을 문법적 유형과 어휘적 유형으로 대별하고, 한국어 경어법을 활용하기 위한 교수와 학생 간의 일상 대화를 분석하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어법 사용을 통한 한국 사회 위계의 유연성을 이해함으로써 경어법 사용의 오류의 결과를 듣기, 말하기, 읽기 등의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3.4절에서 제시한 실제 수업 방안은 연습과 사용에 많은 시간을 할애함으로써, 이론 중심의 교수법을 탈피하고 실용적이고 활용 가능한 한국어 경어법 습득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한 것이며, 오류 분석 결과를 통해서도 경어법 사용의 오류가 감소하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보다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분의 영역에서 오류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오류 분석의 범위를 한국의 가족, 사회적 위계까지 확대함으로써, 언어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까지 면밀하게 파악함으로써 외국인이 한국어 경어법은 물론이고 한국 문화에 익숙해지는 것이 한국어 습득의 올바른 길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To conduct this study, prior research was outlined, error types were roughly classified into grammatical and vocabulary errors, and daily conversat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o use Korean honorifics were analyzed and used in class. In addition, by understanding the flexibility of the hierarchy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use of honorifics, the results of errors in the use of honorifics could be expanded to areas such as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In particular, by spending a lot of time on practice and effective use, the actual class plan presented a new model for acquiring practical and usable Korean honorifics by breaking away from theory-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the results of error analysis also resulted in a decrease in errors in the use of honorifics.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that error analysis is necessary at various levels in order to derive more objective and universal results. This study emphasized that by expanding the scope of error analysis to Korean familier and social hierarchies, it is the right way for foreigners to learn Korean as well as Korean honorifics by closely grasping linguistic and cultural factors.

저자                               서월아 (송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발행연도                        2023


형태사항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5호

                                     1355 - 1365 (11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