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국내 한국어 교육이 최초 시행된 1959년 이래 세계 여러 나라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한국어 교육은 날로 발전하고 있다. 법무부의 ‘외국인 유학생 체류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15년 9월 말 현재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유학생 수는 10만 2,117명으로, 10년 전인 2006년 32,557명에 비해 3배 가까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중간에 조금의 정체기가 있었지만, 그 정체기를 통해 몸집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게 되었고, 그 후 한국의 경제발전 및 구 공산국과의 수교, 거센 한류 열풍, 그리고 정부 차원의 유학생 유치 지원 정책 등의 여러 가지 요인과 맞물려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초기 국내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대부분 선교나 직업수행을 위한 특수한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웠지만, 현재는 한국에 대한 관심과 흥미로 인해 단순히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를 비롯하여 취업, 한국 생활, 대학(원) 진학 등 각자 그들만의 목적을 가지고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늘어났다.
더불어 학령인구 감소와 고등교육시장의 공급 초과 현상으로 인해 국내 대학들이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국경을 초월한 학생 유치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는 각 대학은 이에 큰 노력을 쏟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수도권 일부 대학들에는 국제적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되고,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느끼는 여러 소규모 대학들은 학생 충원과 학교 재정에 도움을 얻는 효과를 얻을 기회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국내 각 지역의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많은 연구는 수도권에 있는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지방에서도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지방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 역시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역을 수도권과 지방권으로 나누어 지역별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현황을 살피고, 수도권과 지방권의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같은 설문을 시행하여, 공간적 위치 조건이 다른 학습자들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비교한 결과를 통해 광주·전라권 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의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 방안에 대해 제시해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을 6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장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외국인 유학생 현황 및 유치 관련, 대학 내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 현황, 지역별 특징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본 논문의 밑거름을 다지도록 한다.
2장 ‘국내 한국어 교육 현황’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과 지역별 한국어 교육기관 현황에 대해 서울·경기권과 부산·영남권, 광주·전라권으로 나누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한다.
3장 ‘연구 방법 및 대상’에서는 본 논문에서 행해지는 연구의 방법을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 제시하고, 연구에 사용한 도구 및 분석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4장 ‘외국인 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 결과’에서는 각 지역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요구 분석 결과를 ‘학습자 요인’, ‘교수-학습 요인’, ‘교수자 요인’, ‘환경적 요인’ 총 4가지로 나누어 비교 논의하였다. 요구 분석은 양적인 조사를 위한 설문 조사와 질적인 조사를 위한 인터뷰를 시행하여 신뢰성을 얻고자 하였다.
5장 ‘광주·전라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능력 증진 방안’에서는 앞서 진행된 연구를 통해 광주·전라권의 지역적 특성을 환경적 특성과 외국인 학습자의 특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수도권과 지방권의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연수 중인 학습자들의 학업 능력 증진 방안에 대해 ‘학습자 분야’, ‘교수-학습 분야’, ‘교수자 분야’, ‘환경적 분야’로 나누어 제언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6장 ‘결론 및 제언’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권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능력 증진을 위해 어떠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Since Korean Education was first established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South Korea in 1959, there has been great strides made in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mid interest of many different countries in the world. According to a statistical report by the Ministry of Justice entitled “the state of international students’ sojourn,” there are 102,117 international students staying in South Korea as of the end of September 2015, a near threefold increase from 10 years ago, when there were 32,557 such students in 2006.
South Korea went through a brief period of stagnation, but it served to create the foundations on which to build up, and interest in Korean education has never let up ever since thanks to the coming together of many different factors, including Korea’s economic growth,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ex-communist countries, the mighty Korean Wave, and government efforts to attract more international students such as by way of setting up pertinent policies.
Initially, those who learned the Korean language in South Korea did so for the purposes of being able to do missionary work or for other special work-related purposes. But today, many learn Korean simply out of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the country and others also do so for their own personal purposes which include getting a job, living in South Korea, and going onto graduate school.
However, with a decline in student population and excessive supply in the high education market, it became more difficult for universities in the country to attract new students and many universities, having become acutely aware of the need to attract students from beyond the border, are making huge efforts to this end.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is a way fo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o increase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those that have no difficulty attracting new students, and for the smaller universities that do have a hard time attracting new students, it is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ir student enrollment and it helps with their financing. Consequently, universities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are making great efforts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Many studies on Korean education are being done primarily with respect to educational institutions situ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t the provinces have seen a rapid ri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so studies on Korean education taking place in the provinces are also an urgent matter.
In this paper, the country is classified in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provinces in examining the state of university-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survey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studying Korean at these university-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both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n the province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fferent regional classif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 an effective learning plan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Korea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wangju and Jeollado.
It is deemed that this paper provides a direction for the kind of efforts that are needed to make it more effective for international students’ learning of Korean, who are doing so not on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t in the provinces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