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방법 : 부산에 소재하는 4년제 한국 대학생 193명, 4년제 중국 유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공감학습 질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지적, 정서적, 태도적 영역으로 각 15문항, 총 4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양적 데이터는 대응 표본t검정을 통해 중요 수준과 실천 수준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Borich의 요구도와 LF 모델을 통해 각 영역간 공동으로 높은 요구도가 나타난 문항을 도출하였다.
결과 :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965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인지적 영역(7문항), 정서적 영역(1문항), 태도적 영역(7문항)에서 높은 요구도가 나타났다. 문항을 살펴보면 학습 내용 이해, 학습 목표/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 학습 과정 반복 점검 등 인지적 영역, 공부할 때 좋은 기분으로 전환하는 방법 등 정서적 영역, 스스로 학습 동기 부여, 학습 자체에 의미 두기, 자신 학습 능력에 대한 믿음등 태도적 영역과 관련된 내용이다. 중국 유학생한테서는 인지적 영역의 5문항에 대해서만 높은 요구도가 나타났다. 즉 학습 목적과관심이 있는 학습 영역, 이해 가능 부분과 잘하는 부분을 파악하는 것과 관련된다.
결론 : 첫째, 한국 대학생들은 인지적, 태도적 영역에 대한 실제 실행 정도는 다소 부족하지만 그것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에대해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정서적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선 제대로 인식하지 못 하고있다. 둘째, 중국 유학생들은 학습 목적과학습 내용 이해 등 인지적 영역에 대해서만 요구도가 높았으며,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정서와 태도에 대한 중요 정도를 인식하지못하고 있다는것이다. 셋째, 양 국 학생 모두 정서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따라서 대상의 요구도에 따라 인지적, 태도적 영역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생들이 학습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정서지능 함양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Empathic Learning questionnaire among 193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10 Chinese exchange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45 items, divid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attitudinal domains, with 15 questions in each category. Quantitativ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levels and implementation levels. Additionally, using Borich's demand level and LF model, items with consistently high demand across all domains were identified.
Results :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entir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965. Korean college students showed a high demand for the cognitive domain (7 items), emotional domain (1 item), and attitudinal domain (7 items).
Upon reviewing the items, it was evident that the cognitive domain included content related to understanding learning material, setting and implementing learning goals and plans, and reviewing the learning process. The emotional domain included strategies for transitioning into a positive mood while studying. The attitudinal domain encompassed self-motivation for learning, attaching meaning to the learning process, and having confidence in one's learning abiliti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hibited a high demand for only 5 items within the cognitive domain. Specifically, these items were related to understanding learning objectives and areas of interest, as well as assessing comprehensible and proficient sections.
Conclusions : Firstly, Korean college students appea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attitudinal domains in learning, even though their actual execution in these areas may be somewhat lacking. However, they seem to have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emotional domain. Secondl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hibited a high demand for the cognitive domain, particularly in areas related to learning objectives and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 However, it's notable that they do not seem to fully grasp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attitudinal factors. Thirdly, both groups of students displayed low awareness regarding the emotional dom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hat consider the specific demands of the target audience, focusing on cognitive and attitudinal domains. Additionally, it is essential to incorporate programs aimed at nurturing emotional intelligence to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joy of learning.

저자                               소애진 (부산대학교)

                                     이상수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발행연도                        2023


형태사항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제23호

                                     687 - 702 (16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