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한국어학개론> 전공 수업에서 직소 모형 기반의 협동 학습을 경험한 학습자의 성찰일지 내용분석을 통해 직소 모형 기반 협동 학습에 대한 교육적 의미와 학습 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인식 변화를 고찰하였다.
학습자들은 적극적인 수업 참여 및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전공 지식에 대한 이해도 역시 향상되었음을 스스로 인지하였다. 또한 협동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기회가 되었고, 이를 통해 학습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무엇보다 수준 차이가 있는 학습자 간의 모델링 학습을 통해 상호 간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음을 살폈으며, 수업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과제 해결과 협업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다른 교수법에 비해 직소 모형 기반의 협동 학습이 학습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더불어 직소 모형 기반 협동 학습에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해서는 피드백 제공 및 과제 수행을 지원하는 게 효율적이며, 협동 학습에서 의견 조율과 동기 유발을 하는 것이 성공적으로 학습을 해나가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자가 과제에 대해 자세히 안내하는 것이 직소 모형 기반의 협동 학습에서는 중요하며 학습자의 내적 동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직소 모형 기반 협동 학습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직소 모형 기반 협동 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Jigsaw model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reflection journal prepared by learners who experienced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Jigsaw model in a major class called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specific changes in perceptions of what learners personally learned in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Jigsaw model.
First of all, the learners themselves recognized that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nd confidence improved,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major knowledge. It was also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rough this, active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were experienced. Above all, it was examined that through modeling learning among learners with differences in levels, they had a mutual respect attitude, and it contributed to increasing class satisfaction. However, learners had difficulty in solving tasks and collaborating, and recognized that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jigsaw models had a greater burden on learning than other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efficient to provide feedback and support task performance for the role of instructors in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jigsaw models, and it was considered that coordinating opinions and motivating them in cooperative learning helped them successfully lear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important for the instructor to guide the task in detail in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jigsaw model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internal motivation.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future Jigsaw model-based cooperative learning were provid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activating Jigsaw model-based cooperative learning.

저자                               강소영 (광주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문예창작학회


발행연도                        2023


형태사항                        한국문예창작

                                     제22권 제3호 통권 59호

                                     125 - 152 (28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