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있는 교육 도시임에도 유관 연구의 공백에 있는 천안⋅아산 지역국제 학생의 학습 능력과 대학생활 적응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8년2학기와 2019년 1학기에 두 도시 내 4개 사립대 학부 과정의 10여 개국 재학생을 상대로 다국어로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외국인 학생의 학습 역량과 학교생활 적응 등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총 333명의 수집 자료를 한국어 성적(TOPIK 급수), 고교 성적(자기 평가), 대학 성적(지난 학기)과3대 변수를 포함하는 학업 역량 및 대인 관계, 수업 참여, 심리⋅신체 건강, 대학생활 만족을 변수로하는 대학생활 적응으로 나눠 상관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학 성적은 한국어 성적과 유의한 선형관계가 없었다. 반면, 대학 성적과 고교 성적에서 정(定)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한국어 성적은학교생활 적응 변수 중에서 대학생활 만족, 대학 성적은 수업 참여 변수와 상호 간 연관이 있으나강도는 낮은 편이었다. 한편, 자기주도 학습력 및 전공교과⋅교양교과 학업 효능감은 수업 참여와대학생활 만족과 비교적 강한 선형 관계가 있는 가운데, 자기 효능감은 대인 관계에 뚜렷한 양(陽)의상관 값을 보였다. 이 연구는 수도권에서 벗어나 지역 대학의 연계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능력과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유학생 대상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또한 상관관계가 밝혀진 각종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설명할후속 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도 생산적인 결과라 할 수 있겠다.


Our empirical study, in a quantitative manner, aims to see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study and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IS) in the twin cities of Cheonan-Asan, whose Korean higher education research on local IS is scarce. To this end, we conducted a multilingual questionnaire survey on 333 undergraduate IS from over ten countries attending four private universities in these twin cities. Referring to the literature on the adaptation of IS to university, we carried out a twofold correlation test, including partial and bivariate correlations, broken up into three variables i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into six sub-variables in academic competence within the ability to study domain, as well as into four variables within the domain of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As a result, in academic achievement, the university credit scale (in the last semester) showed no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language competency scale (by TOPIK), whi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igh-school grading scale (by self-evaluation) and the university credit scale. Korean language competency in academic achievement correlated with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ithin the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domain, and the university credit scal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class within the same domain also stayed in a linear relationship.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low, however. Meanwhile,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liberal arts, as well as major papers corresponding to academic efficacy, which are fall into academic competence,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 within the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domain. In contrast, self-efficacy in academic competence showed a relatively stronger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domain of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Several findings, however, differ from those of the literature in that, for instance,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competency and university credits appeared. With a lesson from the multilingual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our research will involve future work by using a relevant theoretical model in higher education for local IS; one that will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this work identified.

저자                                조순정, 전정미(상명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발행연도                         2020.12


형태사항                         교양교육연구 제14권 제6호

                                      387 - 396(1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