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이 연구는 베트남인 교수자가 국내 한국어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 겪는 경험에 주목, 그 의미를 탐색하여 향후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개선하는데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수업 관찰에서 ‘강의 개요나 교수-학습 자료’ 등과 같은 문서, ‘반구조화된 면담’ 등까지 다양한 방법과 자료들을 수집 대상으로 삼아 교육과정의 재구성 측면 등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애초에 한국어 교육과 정을 재구성하게 된 동기와 그 목적은 학교 측의 글쓰기 수업에 대한 요구와 학생들의 어려움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 방법적 측면은 주로 교수-학습 자료나 교수-지도안 부분 등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재구성 과정에서 겪은 그 어려움과 문제점의 요인은 한-베 간의 문체나 표현 방식의 차이점, 성조나 발음 등에 대한 부담감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베트남인 교수자가 전술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지향하는 바는 교재나 부교재에 대한 개발이나 전공 진입 직전의 고급 과정에 대한 개발, 혹은 베트남 학습자만이 겪는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멘토 역할 등의 제안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번 연구는 기존 교육과정을 변형, 재조정할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도입하고, 그것을 통해 적절한 교수-학습 방안 등을 고안할 수 있도록 긴요한 정보 등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the Vietnamese instructor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courses in Korea and sought for implications for developing or improving curriculum in the future. To this end, documents such as ‘class syllabus’, ‘teaching learning material’,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ther various methods and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study analysis provided following results. First, Korean education curriculum was modified in the first place in response to the school’s demand for writing classes and in response to the students’ difficulties. Second, the methodology of reconstruction mainly involved modifying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lesson plans. Third,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that arose during the modification process were due to the differences in style, expression, tone, and pronunci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Fourth, Vietnamese instructors considered developing main or auxillary textbooks and advanced courses that are entry courses to a major as possible solutions to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suggested assigning mentors to help the Vietnamese students with emotional difficulties. Thus the study succeeded in introducing a new perspective that the current curriculum may be revised and modified, and provided information that is essential to design appropriate teaching-study methods.

저자                               강수정 (장로회신학대학교)

                                      쩐반뜨 (광운대학교)


발행기관                         한국학회


발행연도                         2021.03


형태사항                         한글

                                      제83권 제1호

                                      227 - 271 (45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