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1900년대 유학생들은 러·일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일본론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근대화의 성공을 넘어 동아시아 패권국가로 등장한 일본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다양한 분야의 일본론이 등장하였고, 자기시각에 근거한 평가도 제기되었다.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주목한 부분은 일본의 역사문화와 근대화개혁이었다. 유학생들은 일본의 역사문화 역시 동양문명권에서 탄생한 것이며, 한국과 중국에 비해서는 후진적이라고 생각하였다. 한국이 근대화에는 뒤쳐졌지만, 역사문화적 전통은 더 우수하며, 언젠가는 재기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근대화과정은 확연히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일본은 교육개혁과 정치개혁에 성공하여 국가적 통합력을 강화시키고, 인민의 지적능력을 근본적으로 향상시켰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들에서 속에서 일본인의 민족적 특징을 급속한 성공의 이유로 보는 시각도 등장하였다. 강국인 러시아를 이긴 힘을 서구문명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유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일본민족성의 특징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은 강한 정신인 ‘대화혼’이었다. ‘대화혼’이 무사도와 결합하여 일본의 독특한 정신적 특성을 형성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본의 민족적 특성이 강국을 건설하는데 성공적으로 작용하여 패권국가로 부상했다는 주장이었다. ‘대화혼’이 의미하는 강력한 희생정신, 복종심이 강력한 국가주의적 근대화를 추동했다는 것이었다. 또한 고유의 민족성과 결합된 일본의 근대화과정은 서구의 자유주의적 근대화과정과 다른 것이라는 주장도 이어졌다. 자유주의적 근대화의 부작용을 민족정신을 활용한 국가주의적 근대화노선으로 극복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논리를 주장한 인물들은 한국사회의 실패원인도 국가주의적 민족성의 부재에서 찾았다. 일본의 성공에 압도되어 인민의 절대적 헌신을 요구하는 국가주의적 근대화를 주장하게 된 것이었다. 반면 일본의 침략적 성격과 일본사회의 모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제기되지 못하였다. 일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주체적 시각을 상실하게 된 것이었다.

After Russo-Japanese War,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the theory on Japanese society. They believed that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Japanese society in-depth after they witness Japan’s successful modernization and becoming the power of East Asian region. Many suggested various theories on Japan, and some even evaluated Japa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Most interests of them were in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and modernization and reforms. They believed that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were also from East Asian civilization, and regarded them as backward culture. They believed that Korea was far advanced than Japan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and will prosper someday though modernization became delayed. But they thought that the modernization process was totally different. They evaluated that Japan was successful in consolidating nation through educational and political reforms, and, as a result, enhanced general intelligence of people. From this perspective, some observed Japanese people’s national character as the very reason of rapid success. They thought that the power to win over Russia was not from a mere adapt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hat these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commonly realize was the Japanese people’s strong national character, ‘taehwahon,’ which does not fear even death. They thought that Japanese unique spirit comprise of ‘taehwahon’ and samurai spirit. They argued that this unique national culture affected to build a strong nation, and made Japan as one of the world powers. Taehwahon meant sacrifice and conformity for nation, and functioned to form a state-centered modernization. They also argued that Japanese modernization was different from Western liberal modernization because it was strongly related to Japan’s national characteristics. They argued that state-centered Japanese modernization overcame the shortcomings of the Western liberal modernization. Those who argued this theory also evaluated the failure of Korean modernization in that Korea lacked this state-centered national characteristics. Mesmerized by the success of Japan, these people also argued that Koreans should follow Japanese state-centered model that requires people’s absolute sacrifice for nation. But they did not critically look at Japanese aggressive imperialism and problems within Japanese society. Although their theory came from the initiatives to understand Japanese society in-depth, their study made them lose subjective position as Koreans in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