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의 교양 글쓰기 수업에 있어 영상콘텐츠의 도구적 가능성과 의의를 진단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구체적 적용 대상으로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프로그램에 담긴 문화적 함의를 읽어내, 각자의 담화와 글쓰기를 이어나가게 하는 방식의 글쓰기 과정은 정서적으로는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라는 측면에서, 기능적으로는 기존에 구축된 콘텐츠가 새로운 콘텐츠의 생산으로 이어지는 가능성의 측면에서 그 효용을 확인할 수 있겠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와 글쓰기는 지식과 인지를 바탕으로 하는 활동의 차원을 벗어나 영감과 정서를 바탕으로 상상력을 펼쳐 나가는 융합 사고 활동이 되었다. 다양한 이미지를 보고 듣고 느끼며 생생하게 느낀 바를 서술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어 교육 영역 중 ‘쓰기’를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꼽는다. 이는 ‘한국어로 표현하는 어려움’과 ‘글쓰기에 대한 어려움’ 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한국어 문법에 맞는 정확한 한국어 문장을 구사하는 것과 한국어로 글쓰기 의미를 생성해 내는 것에 대해 두려움과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 대학에서 느끼는 교육 만족도가 저하된다. 이는 학문 생활을 유지하고 이어나가는 데에 대한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나아가 외국인 유학생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이어질 위험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적인 ‘글쓰기 교육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시대와 환경적 여건을 고려한 유학생 글쓰기 지도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그 방법론으로 영상매체를 제안하고, 구체적으로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고 기반의 소통적 글쓰기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문장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이미지에 대한 고민이 되어야 한다. 언어 학습을 기초로 하는 유학생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문장과 표현이 제약이 된다면 상상, 연상활동을 통해 가능한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는 어려워진다. 따라서 표현의 이전에 소통할 수 있는 기회로서의 문화 콘텐츠 자료 구축과 그를 통한 소통과 쓰기의 과정을 열어 보이고자 한다.

For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writing’ is the most difficult are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is associated with the ‘difficulty of expressing in Korean’ and the ‘difficulty of writing’. In other words, foreign students have fear and difficulty of completing accurate Korean sentences which suit Korean grammar and creating the meaning of writing in Korean.
For this problem, foreign students have low educational satisfaction in Korean universities. This leads to difficulty in maintaining and continuing an academic life. Furthermore, there is a danger of reducing foreign students.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find professional ‘writing instruction plans’ for foreign students. In the light of the times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writing instruction plans for foreign students. The application of video contents is one of the methodologies and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s ow to use reality programs.
A consideration of what and how to use must be a consideration of images, not of sentences, especially for foreign students that are based on language learning. When sentences and expressions are restricted, association activity-based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is difficult.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writing using cultural contents and data, as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before expr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