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이 연구는 한국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논의되는 방식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중국인 유학생들은 정책담론과 언론담론에서 숫자로 번역되고 덧셈과 뺄셈으로 계산된다. 학술 연구들이 그들의 유학동기와 적응과정에 주목하긴 했으나 개인적·심리적 차원에 관심을 한정하고, 그들이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등에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문화주의적 접근을 통해, ‘정치적 장소’로서의 그들 얼굴을 그려보고자 했다. 중국인 유학생 10명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해 한국과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그들의 생각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정치’와 관련해 그들은 중국정치체제가 보다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면서도, 한국에서 생활하는 동안 ‘청와대 청원’과 ‘언론의 자유’등 민주적 절차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고 진술했다. ‘경제’에 관해서는 중국의 국가주도 계획경제 운영방식과 국유기업 형태에 지지의 뜻을 나타내면서도, 경제 성장에 관해서는 민영기업에 더 큰 기대를 걸고 있었고 학업을 마친 후 자본주의 국가인 한국에서 체류하길 희망하고 있었다. 중국의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에 대해서는 문제의식을 개진하지 않으면서도, 한국에 젠더, 인종 혹은 종족에 따른 차별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문화’와 관련해서는 ‘한한령’을 통해 문화권과 놀이권을 억압하는 중국정부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드러냈다. 이런 식의 연구결과는 ‘시진핑 키즈’ 혹은 ‘애국·보수주의’ 등 일부 중국 청년세대를 설명하는 용어가 한국 대학을 경험하는 유학생들에게 일괄 적용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청년들 사이에 소통을 확대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보고자 했다.


This study begins by problematizing the way that Chinese students are treated and perceived in South Korea. Chinese students are reduced to numbers in policy discourse and media discourse and calculated by addition and subtraction. Although academic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ir motivation to study in Korea and their adjustment process, these studies have limited their focus to person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not paying attention to Chinese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Korean and Chinese societie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depict the faces of Chinese students as ‘political places’ through a culturalist approach.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n Chinese students, this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their thoughts on both countries. Regarding ‘politics,’ they stated that while they thought the Chinese political system was more efficient, they had realized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procedures such as the Blue House petition system and freedom of the press while living in Korea. Regarding the economy, while expressing support for China's state-led planned economy, they had higher expectations for private enterprises to generate economic growth. However, even though they held these views towards the Chinese economic system, they reported that they hoped to stay in Korea, a capitalist country, after completing their studies. Although they did not report personally experiencing social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in China, they thought that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race or ethnicity is serious in Korea. Regarding culture, Chinese students expressed a critical position against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they perceived as suppressing their cultural rights through its policies banning Korean media. This research shows that terms that describe some Chinese youth, such as “Xi Jinping Kids” or “patriotism and conservatism” cannot be applied collectively to Chinese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Along with this result, this study attempts to promote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youth.

저자                               손짜웨이 (서강대학교)

                                      방희경 (서강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언론정보학회


발행연도                         2022.02


형태사항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제 111호

                                      109 - 150 (42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