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본 연구는 대학 내 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화를 활용한 인성교육의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반쪽이> 설화의 서사구조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인성교육적 가치를 고찰하였으며, 인성교육의 목표를 새롭게 설정하고 "인식-성찰-실천"의 단계에 따라 4차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무엇보다 인성교육은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적·윤리적 공동 문제에 대해 말하고 실천해 보는 기회를 갖는 활동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수업 내용을 설계하였다.
<반쪽이> 설화는 장애를 가진 주인공이 영웅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서사를 갖는다. 특히, 인성교육 차원에서 주목해야 하는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을 바탕으로 소수자와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 형성, 사회성 함양 등을 학습하기에 유용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외팔과 외다리를 가진 기형적인 인물을 그리고 있는 <반쪽이> 설화는 한국에서만 접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세계곳곳에서 전승되어 된 광포설화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설화를 활용하면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다소 무겁게 느껴질 수 있는 ‘장애’에 대한 인식을 친근하게 학습할 수 있으며 비교 문학적 관점에서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심층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method for personality education using folktales for foreign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degree programs i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ed the value of personality education using the legend of “Banjjoki” established the goals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third class according to the stage of “recognition-reflection-action.” Above all, personality education allows the design of effective class content that centers on activities that offer opportunities to talk and think about social and ethical joint issues in terms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The story of “Banjjoki” has an interesting narrative in which the protagonist with a disability shows a heroic aspect. Based on the improvement in “disability” awareness, which should be noted in personality education, the story can serve as a useful educational material for learning various topic such as forming relationships and cultivating relationships with minorities. Moreover, the story of “Banjjoki” which depicts a deformed character with one arm and one leg, is not restricted to Korea, but has the characteristics of photolithography transmitted from throughout the world beyond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Using folktales is effective in that it allows foreign students to lear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in a friendly way and enables in-depth activitie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저자                               강소영 (광주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발행연도                         2022.02


형태사항                         리터러시연구

                                      제13권 제1호

                                      449 - 478 (3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