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 요구되는 익힘책 개발의 원리와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언어교육을 위한 익힘책의 현황과 요구를 살펴보고, 『세종 사이버 한국어 익힘책』을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도출된 익힘책 개발의 원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로써 학습자의 상황과 수준별, 교육자료 사용의 환경별로 익힘책 개발에 대한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익힘책은 문제를 풀며 개념이나 원리를 익힐 수 있게 만든 책으로, 현재는 수학 교과목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비해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 기여할 익힘책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다. 기존의 외국어 교육은 교실에서 교사의 주도로 진행되는 면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교육 디지털화 이후 마이크로러닝과 자가학습이 증가되었다. 국외에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 다수는 교육자를 통한 학습이 어려워, 학습의 수월성을 도와줄 다양한 보조자료가 국내보다 더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사이버 한국어 초급・중급 익힘책은 온라인 한국어 학습 수요에 맞는 학습 자료인 동시에 외국인 한국어 교원의 현장 지도를 돕는 자료여야 한다. 온・오프라인 환경을 모두 고려한 교육자료는 자가학습과 교실 사용, 두 목적을 모두 고려한 익힘책이 된다. 따라서 이 책을 ‘익힘활동책’이라고 부를 수 있다. 더불어 온라인 익힘책에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장치를 함께 마련해야 한다. 본고는 익힘책에 대한 미래적 의미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세종학당 한국어 학습에 적합한 익힘책 개발 원리를 도출함으로써 교수 학습의 수월성을 돕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사이버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익힘책을 개발하고 제작하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 마련된 교육자료를 완비하는 과정이다. 또한, 초급과 중급에 걸쳐 익힘책을 개발함으로써, 국외 현지 학습자들이 강의 콘텐츠와 연계된 보충 및 심화 학습 활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를 지도할 교원에게 지도서를 제공함으로써 국외에서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of workbooks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workbooks for languag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principle of developing workbooks,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Sejong Cyber Korean Workbook”, was discussed. Through this, the study would like to emphasise the need for multilateral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workbooks by learner’s situation and level, and the environment of using educational materials. The workbook is a book that allows learners to learn concepts and principles by solving questions, and is currently actively used in math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little discussion on workbooks that would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learning a language.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exist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was led by teachers in the classroom. After the educational digitisation, microlearning and self-learning have been increased. Many lear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abroad are difficult to learn through educators, so various auxiliary materials to help ease learning are more urgent than those in Korea. In particular, cyber Korea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workbooks should be learning materials that meet the demand for online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also help foreign Korean language teachers’ field guidance. The educational materials that consider both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become a workbook that considers both self-learning and classroom use. Therefore, this book could be called ‘workbook for activities’. In addition, online workbooks should be equipped with devices to arous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e learner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future meaning of the workbook, and attempted to contribute to helping the ease of teaching and learning by deriving the principle of developing the workbook suitable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t King Sejong Institute. Developing and producing a workbook in the ‘cyber Korean learning’ course is a process of completing educational materials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by developing the workbooks across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not only local learners abroad are able to do supplement and in-depth learning activities linked to the lecture contents, but also a guide book is provided to the teachers to guide them, to maximis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abroad.


저자                               이미향 (영남대학교)

                                      손시진 (영남대학교)

                                      이승연(삼육대학교)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이중언어학

                                      87호

                                      277 - 306 (3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