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이공계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 기업에 취업한 유학생 출신 연구원들과 이들을 고용한 경험이 있는 기업 담당자들과의 면접조사를 토대로 한국 유학이 졸업 후 삶에 어떠한 자본으로 작동하는지,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이공계 학위와 전공지식, 그리고 지도교수와의 네트워크는 유학생들이 한국 기업에 취업하는 데 주요한 자본으로 작동한다. 또한 한국 기업에 취업한 연구원들에게 유학 자본은 상대적으로 빨리, 그리고 쉽게 합법적 (장기) 체류 지위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동시에 외국인 전문인력으로 불리는 연구원들의 경우에도 내국인 연구 인력이 선호하지 않는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고, 규모가 작고, 업종과 위치가 주변화되어 있는 기업에 주로 취업하게 된다. 한국 기업 취업과 장기 체류 비자 취득이 한국 영구 정착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고는 직업 기회의 제약, 한국 회사 생활의 어려움, 가족 관계 내에서의 역할과 문제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외국인 연구원들이 한국에서 경험하는 한계를 살핀다. 본 연구는 유학을 단기적 교육 이주로 보는 접근을 넘어 생애사적 시각에서, 더 장기적인 이주의 맥락에서 유학의 의미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how study in Korea can work as an asset for employ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science/engineering, and what they experience as limits in Korea. It draws on interviews both with international graduates employed in Korean companies, and with Korean personnel who have worked with foreign researchers. It shows that academic degree, major knowledge, and social network with advisors are important assets. Study in Korea can also bring benefits in securing (long-term) work visas. However, even high-skilled migrants are likely to work in small-sized companies providing relatively low income. Post-graduation employment in Korea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ir permanent settlement. The limits of their life in Korea were analyzed in three aspects: limited job opportunity, difficulties in Korean companies, and family issue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understand study abroad with the life-course perspective and in the context of long-term migration aspirations.


저자                              최희정(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발행기관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12권 제2호 

                                     1 - 28 (28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