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교재와 한국 대학생 대상 교양 글쓰기 교재의 비교를 통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재 개발 및 개선에필요한 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학술 글쓰기를 위해 필요한 내용 및 학업 기술을 선행 연구를 통하여 목록화한 후,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대학생을 위한학술 글쓰기 교재에 해당 내용 및 기술의 출현 여부를 확인하여 태깅하고 그 결과를비교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술 글쓰기를 위한 학업기술의 평균 중복도가 한국인 대상 쓰기 교재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외국인대상 교재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대상 쓰기 교재에서는 장르 관습과 관련된 기술이 더 자세하며 구체적인 범주로 제시되어 있다. 셋째, 한국인 대상교재와 비교하면 외국인 대상 쓰기 교재에서 소홀히 다루고 있는 부분은 창의성 부분이다. 넷째, 외국인 대상 교재에서는 학술 글쓰기에 필요한 세 영역 중에서 ‘글쓰기 형식과 내용’에, 한국인 대상 교재에서는 ‘글쓰기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인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볼 때, 앞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학술 글쓰기 교재에서는 단순한 언어 형식, 기능을 넘어서 ‘창의성’을 반영하고, 글쓰기 ‘과정’을 지도하는 방향으로 내용이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외국인 대상 쓰기 교재에, ‘비판적으로 읽은 후 쓰기’, ‘보고서 주제 탐색하기’, ‘바꿔 쓰기’ 가 보완,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tent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foreign students by comparing the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with those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fter listing the contents and skills required for academic writing, we checked the presence of those items in textbooks for foreign and Korean students, tagged them, and compared the findings. It was observed that: (1) the average overlap of skills for academic writing was relatively high in textbooks for Koreans, and relatively low in textbooks for foreigners; (2) i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ers, skills related to genre conventions were presented in a more detailed and specific manner; (3) compared to textbooks for Koreans, the creativity aspect was neglected in textbooks for foreigners; (4) textbooks for foreigners tended to focus on “writing form and content” among the three areas necessary for academic writing, while textbooks for Koreans tended to focus on the “writing proces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appears that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will need to be structured in a way that reflects “creativity” beyond simple language forms and functions, and guides the “writing process.” To do so, “writing after reading critically”, “exploring the topic of the report”, and “paraphrasing” should be supplemented and enhanced i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ers.


 저자                             장채린(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한국 리터러시 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리터러시 연구

                                     제13권 제2호

                                     315 - 338 (2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