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다문화사회에서 이주민들이 얼마나 경찰을 신뢰하고 있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공권력의 공정한 집행을 통한 시민의 협력을 이끌어내고 법 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우수 인력인 외국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한국 경찰의 신뢰도를 도구적 시각과 표현적 시각 중 어느 모형이 더 설명력이 있는지 검증하려고 하였다. 아울러 국적, 성별, 생활 긴장도, 차별 경험 등의 요인에 따라 경찰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과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 유학생들의 경찰 신뢰도를 설명하는 모형으로 표현적 시각 모형이 더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적 시각 요인 중 사회 무질서, 사회 유대와 비공식 사회 통제 순으로 경찰 신뢰도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별, 차별 경험과 생활 긴장도도 경찰 신뢰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사회통합과 우수 인력 유치를 위한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the Instrumental Perspective Model or Expressive Perspective Model has more explanatory power in regard to police reli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who can be deemed elite foreign manpower. Factors such as nationality, gender, life strain,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the students’ confidence in police. We studied graduate students from China and Vietnam, and the results reveal the Expressive Perspective Model has more explanatory power. Among the Expressive Perspective factors, social disorder, social bond, and informal social control, in that order,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students’ perceived level of police reliability. Nationa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but differences related to gender were revealed, indicating women consider police more reliable than men do. Furthermor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life strain heavily impacted their perception of police. This study shows, in terms of police reliability, South Korea is an attractive destination for elite foreign manpower, and social integration is highly probable.

저자                               서경숙(동국대학교)

                                     

                                    

발행기관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인문사회 21

                                     제13권 제3호

                                     1229 - 1244 (16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