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이 전공에 진입하기 전에 학업 수행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학술 어휘를 교수⋅학습하는 데 필요한 ‘필수 학술기본어휘집’ 개발의 기초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공식적인 학술기본어휘 목록이 없어 적절한 학술기본어휘 목록 6개를 메타 계량하여 충분한 어휘량을 확보하고, 출처 중복도, 각 어휘의 등급 정보 등을 점수화하여 평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메타 계량으로 총 4,475개의 어휘가 목록화⋅자료화되었으며, 출처 중복도가 1인 971개를 제외하여 1,154개의 어휘 어근을 가지고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평정 결과 1,154개의 어근 중 50점 이상의 550개 어근이 주요 표제어로 선정되었고, 40점 이상의 어휘는 필요에 따라 추가 수록이 가능하도록 제안되었다.
 다음으로 필수 학술기본어휘집의 미시구조 설정과 기술 방법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어휘집의 미시구조는 크게 표제어 제시부와 관련 어휘 및 용례 제시부로 구성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진행되어 온 학술기본어휘 선정 연구를 기반으로 학술기본어휘를 실제 교수⋅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어휘집 개발의 청사진을 그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특히 실제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을 실질적으로 다루었으며 다각도로 방안을 분석하고 제안하여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고 본다.


In this study, a basic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the “Essential Korean Academic Vocabulary Collection” necessary for teaching and learning major academic vocabulary that foreign students must know for academic performance before entering their major. Since there was no official academic vocabulary list, six appropriate academic vocabulary lists were meta-metered to secure sufficient vocabulary, and the source redundancy and grade information of each vocabulary were scored and evaluated. A total of 4,475 vocabulary words were listed and documented by meta-metering, and the importance was evaluated with 1,154 vocabulary roots excluding 971 sources per pers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550 of 1,154 roots with 50 or more points were selected as the main heading, and roots with 40 or more points were suggested to be additionally collected as needed if possible.
 Next, a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microstructure setting and technical method of the essential academic vocabulary collec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microstructure of the collection could be largely composed of a heading presentation part, as well as a word family and usage presentation par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rew a blueprint for the development of a vocabulary collection that can use academic vocabulary for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existing research for the selection of academic vocabulary.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alt with the area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it comes to actual development, and has also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this by analyzing and proposing plans from various angles.


저자                               한윤정(경희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269 - 285 (17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