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최근 고등교육의 국제화의 흐름 속에서 국내 대학은 일반외국인 유학생과 더불어 동포유학생의 수가 증가하면서 대학 구성원이 국적뿐 아니라 문화적으로 점점 다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유학생들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이 학교생활에서 어떻게 적응하며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남미동포 유학생들의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의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포학생들의 안정적 적응과 지원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담을 활용하였고, 중남미동포 유학생의 교육이주를 ‘중남미에서 유학전’, ‘한국입국 후 대학입학 전’과 ‘한국에서 대학입학 후’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중남미동포 유학생들은 다문화, 다중언어능력을 활용하여 중남미언어권, 영어권 출신의 동포나 일반외국인들과 긴밀하게 교류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미디어 매체와 온라인을 통한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활발하였다.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입국 전후 유학준비에서부터, 대학 진학 후의 한국생활에 필요한 정서적 지지와 유용한 정보를 취득하고 있었다. 하지만, 선행연구의 국내 중국유학생 사례와 유사하게 내국인 학생들과의 관계 구축은 매우 미흡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가 상호문화적 다양성(intercultural diversity)에 기반한 진정한 의미의 고등교육의 국제화를 성취하고 동포학생들이 한국대학에 잘 적응하여 만족할 수 있도록, 내국인 학생들과의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고 동포학생들의 특수한 문화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된 실질적인 지원과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The goal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s formed among Korean return migrants from Latin America currently enrolled in Seoul-based universities, as well as to offer policy suggestions to help these students better adjust in their ethnic homeland. Utilizing in-depth interview data, this study analyzed Korean diaspora students’ experiences at different junctures of their return migration, including their arrival in Korea and attending university. First, the study found that in Korea, younger-generation Korean diasporas from Latin America, with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backgrounds, tend to most closely associate with other Korean diasporas or foreigners from Spanishor English-speaking countries. Second, Korean diaspora students are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online networks. Making use of their local and transnational social networks, these students obtain emotional support as well as useful information on university entrance preparation and life in Korea. Like Chinese students in Korea, however, Korean students from Latin America are less likely to socialize with domestic students. Therefore, this article strongly recommends that Korean universities facilitate more active and productive interactions between Korean diaspora and domestic students. They should also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and multicultural programs that address the unique needs and situations these students face. Such an approach would promote intercultural diversity and furthe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in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