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코로나19 시기 외국인들의 불안감과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존재한다. 이에 이 연구는 소수 국가 출신 한국 거주 외국인(대만인) 을 대상으로 한국 생활 만족도와 한국 생활 공유의도 결정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한국에서 생활하는 대만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 변인 중 신뢰, 참여, 규범은 한국 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화적 역량 변인 중 언어 능숙도는 한국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화 적응 스트레스 변인 중 차별감, 문화적 충격이 한국 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한국 생활 만족도는 한국 생활 공유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and the intention to share life in South Korea among foreigners (Taiwanese people) that were from a minority nation and currently living in South Korea, and to search for way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aiwanese living in Kore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uch social capital variables as trust, participation, and norm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second, language proficiency, one of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variables, had positive impacts on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third,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culture shock, two of the acculturative stress variabl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finally,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share life in South Korea.

저자                               황우념(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

                                      이정기(동명대학교)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26호

                                      97 - 130 (3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