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문화적 적응과 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유학생들의 삶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그들을 위한 복지적 관점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 지역에 있는 3개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과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27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생활 스트레스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는 향수병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다음은 지각된 차별감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요인으로는 성별, 결혼여부, 한국어 수준, 한국체류 기간 등의 4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한국어 수준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관찰되었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생활 스트레스에서는 학업 문제와 장래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친구 문제와 가치관 문제로 인한 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요인으로는 거주환경, 경제적 수준, 한국어 수준 등의 3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한국어 수준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한국 문화에 적응 수준이 높은 유학생은 생활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한국 유학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수준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유학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대학 마다 한국어 수준을 빠른 시일 내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제도적 마련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복지적인 측면에서 외국인 유학생 기숙사나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거주 환경의 지원, 일자리 알선이나 장학금 등의 재정적 지원을 위한 제도적 마련과 더불어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의 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유학생 개인적 차원으로는 한국문화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취미 활동, 봉사활동이나 종교 동아리 등의 다양한 집단 활동에 참여함으로서 교제의 폭을 넓히고 한국 사회에 빠른 시일 내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태도와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tress among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to provide them with some alternatives in the respect of social welfare. For this, this has been surveyed 275 foreign students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factors -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tress, the collected data has been taken statistics using percentage, average, frequency,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1.5 Version.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acculturative stress level was very high in homesickness and sense of discrimination. The four impotent influence factors in relation to the acculturative stress were sex, marriage status, korean language level, the length of one´s stay. And the most impotent factor was korean language level.  Second, it showed that the life stresses - the studies at school, their prospect put them under a lot of stress most seriously. And the nest most serious factors were association with friends and sense of values. The three impotent influence factors in relation to the life stress were residence environment, economic level, korean language level. And also the most impotent factor was korean language level. The correlation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tress was posi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