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통사 복잡성 범주를 크게 세 부분인 문장 길이, 문장 확장, 문장 확장 유형으로 나누었고, 각 범주에 따른 측정 지표를 설정하였다.
연구 내용: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서 문장 길이와 문장 확장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문장 확장 유형에서 부사절은 양적인 증가추이를 나타냈다. 특히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숙달도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문장 길이와 부사절 사용 양상에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에서도 통사 복잡성 측정 지표가 평가 요소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syntactic complexity measurement indicator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Sentence length, sentence extension and sentence extension types. And measurement indicators were set according to each category. As a result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Korean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the sentence length and sentence extension gradually increased, and in particular, in the sentence extension type, adverb clauses showed a positive increase. A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Korean proficiency.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Korean proficiency were found in sentence length and adverbial use. Academic presentations also show that syntactic complexity measurement indicators are likely to be used as evaluation elements.



 저자                              주월랑(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인문사회 21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인문사회 21

                                      제13권 제4호

                                      1041 - 1054 (1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