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에서 다루어지는 장르 가운데 시조에 집중하여 이의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학을 통한 외국어 교육의 효과는 크며 이는 언어, 문학, 문화의 통합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어교육에서도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된 정제되고 세련된 창작물인 문학 작품을 접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뿐 아니라 한국인의 삶과 생각 및 감정에 대한 이해와 문학적 체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 시조는 문학 장르 가운데 한국에서 발생하여 현재까지 널리 향유되고 창작되고 있는 한국 고유의 현재 진행형으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조의 고유성은 한국어교육이 한국의 역사, 문학, 문화 등으로 관심의 영역을 넓히는 최근의 추세에 특별히 시조를 주목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제까지 연구가 시조의 장르 및 작품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였고 표현 활동의 구체적인 방법론이 부족했다는 분석하에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표현 교육 방안에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2장에서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시조 교수-학습에서 무엇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교수-학습 내용으로 시조 장르의 이해와 고시조와 현대시조의 감상, 시조의 창작을 제안하였고, 교수-학습 방법으로 다른 나라 정형시 및 자유시 등과 비교, 능동적인 문학 감상 활동, 그리고 시조 쓰기를 제안하였다. 여기서 시조 창작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구안하였다. 주제와 소재의 설정, ‘제시-발전-의미화’ 단계로 3줄 쓰기, 시조 형식에 맞춰 쓰기, 퇴고 및 완성의 순서로 구성하였다. 3장에서 이 모형을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시행하는 과정을 기술하였고. 4장에서 수업의 결과를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과 자기 평가를 통해 이 모형이 실제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보였다. 논의와 수업 결과를 바탕으로 시조 수업의 전체 절차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시조 창작 모형과 더불어 시조 교수-학습에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Sijo covered in literary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ir teaching-learning models.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is great, and this has been specifically identified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eign learners can not only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encountering literary works, which are refined creations in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grow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life, thoughts, and feelings, and through literary experiences. Sijo is significant as a current and ongoing form unique to Korea, which originated in Korea among the literary genres and remains widely enjoyed and created to this day. This uniqueness is also the reason why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considers the recent trend of expanding its sphere of interest to Korean history, literature, culture, etc.
 Based on the analysis that research has thus far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re and works of Sijo and that the specific methodology of expression activities is lack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learner-centered active expression education method. In Chapter 2, we discussed what and what to address in the teaching-learning of Sijo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to address is. Regard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Sijo genre, the appreciation of old Sijo and modern Sijo, and the creation of Sijo were suggest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e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fixed poetry and free poetry, active literary appreciation activities, and writing of Sijo were suggested. Here, a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creative activities of Sijo was devised. It consists of three lines of writing in the stage of “presentation-development-significance”, setting the subject and material, writing according to the Sijo style, and refining and completing it in the order of completion. Chapter 3 describes the process of applying this model to the classroom. In Chapter 4, this model was shown to be effectively applied in class through learners' writing results and self-evalu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and class results, an overall procedural model of Sijo class was presented, which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Sijo teaching-learning along with the Sijo creation model.


저자                               이명애(가톨릭대학교)

                                      박소연(가톨릭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시조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시조학논총

                                      제57호

                                      159 - 190 (32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