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본 연구는 재한 중국 학부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군집 유형을 탐색하고, 인구학적 분포에 따른 군집유형빈도 및 군집별 대학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andhu와 Asrabadi(1994)의 ASSIS (Acculturation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척도를 재구성 및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는 한국 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 학부 유학생 297명이 참여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통계 분석, 군집분석, 다변량분산 분석,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 재구성 결과, ASSIS 척도는 7요인 31문항으로 수정되었으며, 기존 척도의 ‘기타 요인’은 삭제되고, ‘사회적 고립감’ 하위 요인이 추가되었다. 둘째, 군집 분석 결과, 재한 중국 학부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유형은 취약형(68명, 22.9%), 적응형(71명, 23.9%), 원문화 애착형(120명, 40.4%), 고독형(38명, 12.8%)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 유형별 대학적응 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개인정서 적응 수준 만이 효과크기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취약형의 개인 정서 적응 수준이 가장 낮았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분포를 살펴 보았을 때, 성별 차이의 경우, 고독형과 적응형은 남학생이 더 높은 비율로, 원문화 애착형은 여학생이 더욱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취약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류 기간 구분집단별 분포를 살펴보면, 적응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원문화 애착형은 체류 기간이 짧은 집단에서 더 많이 나타나고, 취약형과 고독형은 체류 기간이 높은 집단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수준의 경우, 고독형이 다른 세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한국어 수준에 대한 자기 평가가 높았고, 다른 집단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체류 기간을 토대로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 및 대학 적응을 논하는 것에 대한 비판과 재한 중국 학부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유형별 대학 정책 및 상담 개입 방향에 제언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luster types of acculturation stress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explore cluster-specif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mographic distribution. Thus, the authors underwent ASSIS(Acculturation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Sandhu & Asrabadi, 1994) scale reconstruction and validation process. 297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cluster analysis, MANOVA, and chi-square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SSIS scale was reconstructed as a 31 item questionnaire with the seven factors, and the existing “Miscellaneous” factor was altered into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factor. Second, the cluster types of the acculturation stress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were 4 types: vulnerable type(N=68, 22.9%), adaptive type(N=71, 23.9%), original culture attachment type(N=120 , 40.4%), and relational maladaptation type(N=38, 12.8%). Third, the levels of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level at univers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groups; the vulnerable type’s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level were the lowest. Fourth, the male students were more common in the adaptive and relational maladaptation types, while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common in the original culture attachment type. Group distribution by the length of sta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the adaptive typ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original culture attachment type was more common in the short-period stay group, while the vulnerable type and relational maladaptation type were more common in the long-period stay group. Fifth, Korean language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groups; the relational maladaptation type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others. Lastly, the authors provided the critics of the opinions explaining the redu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cculturation stress based on their period of stay, and suggestions about university policy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저자                               정옥정 (중국허베이대학교)

                                      박진형 (순천향대)

                                      허난설 (순천향대학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발행연도                         2021.12


형태사항                         아시아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889 - 918 (3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