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명

백순철, 이예지, 제갈덕주
논문명

유튜브의 한국어 교육 인기 채널 및 최우수 교육 콘텐츠 분석

학술지명배달말
권호,쪽번호

(68), pp. 175-204 (30pages)

발행일2021.06
  


[논문 초록]


이 연구를 통해 최근의 유튜브 한국어 교육의 인기 채널과 최우수 동영상을 분석한 후, 교수자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전자의 경우 크게 네 가지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얻었다. 첫째, 외국인 학습자들의 접근성이 좋은 콘텐츠는 대부분 ‘기업형’으로 운영된다. 이는 홍보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강사진은 한국계 원어민이다. 이는 조회수와 구독자 수로 파악하였다. 셋째, 학원식 강의보다는 영상미와 다양한 편집 기법을 활용한 영상 콘텐츠가 호응도가 높다. 이는 ‘댓글 반응’이나 ‘좋아요 수’를 분석한 결과이다. 넷째, 순수한 한국어 교육보다 다양한 문화요소가 가미된 콘텐츠가 더 호응도가 높다.
 다음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크게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유튜브 제작과 운영 교수자들을 위해 기본적인 강의 툴이 제시된 플랫폼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유튜브 학습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검색 방법과 사이트 접근 경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언어 지식적 접근보다는 문화와 흥미를 고려한 시청자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recent years, YouTube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platform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thus examines the contents of some Korean language learning YouTube channels selected from the most popularized among the learn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YouTube site using some keywords pertaining to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Then,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to determine the emerging themes and/or concepts, which revealed the following four significant findings. First, the most accessed by learners turned out to be created and provided by major maketing agencies, which aim to promote accessibility and publicity of their contents to their clients. Second, Korean language learners tended to prefer native Korean-speaking teachers, which was figured out by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the views count on the popular channels and highly rated videos. Third, the analysis of comments and the ‘Like’ count on the channels revealed that video clips edited by various techniques were more attractive to learners than those relying on traditional lecture methods. Finally, the video contents were more eliciting from viewers interactive responses, such as comment or the Like count, when incorporating linguistic components into a range of cultural ones rather than when presenting merely linguistic components per se. The implications drawn out fro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1) a professional platform equipped with basic teaching tool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individual creators and/or instructors; (2) further studies on the ways in which learners search for contents and access to the channels should be done and (3)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hould be customized for learners’ needs and interest, as well as be culturally contextualized.




원문 바로가기 클릭 - 유튜브의 한국어 교육 인기 채널 및 최우수 교육 콘텐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