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어 번역 전공학습자를 대상으로 어떻게 번역 교육을 할 것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역번역과 자가 수정’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사례 연구이다. 한국어 번역전공은 모국어가 각기 다른 외국인 학습자들로 구성이 된 경우로 모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적인 통번역대학원과 다른 상황이다. 특히 학습자들의 다양한 모국어로 인해 번역 결과물을 교수자가 모두 감수할 수 없으므로 역번역과 학습자가 주도하는 자가 수정 방법을 번역 훈련 방법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번역 후 자가 수정 훈련은 학습자에게도 도움이 되지만 교수자에게도 학습자들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를 알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학습자들이 어떤 항목에서 어려움을 겪는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고 학습자 자신이 어떤 부분이 부족하며 어떻게 수정해야 좋을지를 고민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건상 교수자의 피드백을 개별적으로 받을 수 없는 번역 과정에서 자가수정이 번역의 질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를 시도한 것이 의미가 있다고 본다. 번역전공 학습자들이 비교적 스스로 수정이 가능한 것들은 역시 어휘 부분이다. 유사 한자어군, 교체가능한 표현 등은 학습자들에게 수정이 용이한 것들이다. 유사 한자어의 선택에서의 혼동, 교체 가능한 표현들의 자유로운 전환, 유사표현 중 난이도가 낮은 어휘를 집중해서 사용한 것 등에 대한 자가 수정이 이루어졌다. 학습자들 스스로의 수정이 어려운 것은 주로 문장 구조와 관련된 것들이다. 긴 관형사절, ‘-다는 N’과 같은 형태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번역문에서 잘못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도 어렵고 수정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항목들이었다. 마지막으로 불완전한 자가 수정 즉, 자신의 번역이 어색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나 정확하게 어디가 어떻게 어색한 것인지 알 수 없어 수정할 수 없는 것들이 나타났다. 긴 관형사절이 수식하는 주어문, 어순이 변경된 문장이 그러한 것들이다. 많은 학습자들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지못해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그러나 한국어 번역전공 학습자들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 역번역과 자가 수정 과정이 학습자들의 번역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aimed at proposing a ‘back-translation and self-modification’ method as one way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 of how to conduct translation education for learners majoring in Korean translation. Self-modification training after back-translation helps learners, but it also helps professors learn how to guide learners. This is because we can figure out how learners perceive what category they are struggling with. Considering that self-modification is a mean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ranslation in the translation process, which cannot receive feedback from professors individually due to circumstances, it is meaningful to try in this stud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because it is hard to targeted at many learners' materials, we consid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the translation aspects of learners majoring in Korean translation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back translation and self-modification can help learners' translation education. There is a limit to the learner's own translation, however, this method will be a useful translation education method if the professor supplements, analyzes, and explains it without ending with self-modification. There is no denying the need to look at more diverse types of learning. Follow-up research should continue on what types of sentences learners have difficulty analyzing and correcting themselves.

저자                                박은정 (평택대학교)


발행기관                         우리말글학회


발행연도                         2021.06


형태사항                         우리말글

                                      제89집

                                      1 - 31 (31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