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입학한 학문 목적의 외국인 학습자들의 대학 교양 한국어 수업 방안을 살피고자 하였다. 1970년대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이 등장하기 시작한 이래로 언어 교육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은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이후 한국어의 문법 지식이나 구조, 형태를 중심으로 한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 기반한 수업에서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으로 많은 한국어 교실이 변화를 하였다. 그럼에도 현재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대학생들을 보면 한국어 어휘나 한국어 문법에 대한 지식이 풍부함에도 한국어로 말하기 발표나 보고서 쓰기에는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양한국어 수업에서 학문 목적의 학습 도구로 한국어를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명시적 형태 제시 학습 방법을 기반으로 한 의사소통 수업을 하는 것에 대해 고민을 했다. 이에 형태 중심의 수업이 한국어 말하기 또는 글쓰기 능력 향상으로 이어지는 수업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유학생 그리고 교양 한국어 교과 수업이라는 제한적 학습자와 제한적 교실 환경을 설정하여 수업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업 시간에 실험집단에게는 명시적으로 한국어 문법 항목을 제시하고 피실험집단에게는 암시적으로 한국어 문법 항목을 지도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sures taken for conducting Korean language class in college as general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for academic purposes. Since the emergence of communicative language classes in the 1970s, there has been a huge chan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uch changed from the class based on Grammar-Translation Method focusing on grammatical knowledge, structure, and form of Korean language to the class based on Communicative Language Approach. Although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Korean colleges often have extensive Korean vocabulary and grammatical knowledge, many find it difficult to write or present a report in Korean. According to Ellis (1989), learners who receive grammar instruction in a classroom environment can reach a higher level of language acquisition and acquire a language more successful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with natural learner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ommunication class based on this learning method through an explicit form of presentation.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necessity to present the instruction method led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speaking or writing ability in the form-centered clas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method by considering a limited set of learners and a limited classroom environment such as foreign students in college and Korean language class as general education.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explicit presentation of Korean grammar items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implicit instruction of Korean grammar items to a control group during Korean language class hours o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ability of foreign learners.

저자                               유해준 (상지대학교)


발행기관                         중앙어문학회


발행연도                         2021.09


형태사항                        어문론집

                                     語文論集 第87輯

                                     233 - 261 (29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