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아시아계 외국인 학습자들이 처한 학습 상황 및 학습자들의 학습유형에 최적화된 VR 기반 한국어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기존 한국어교육과 VR 기반 한국어 교육 방식의 학습 효 과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시에 학습자의 학습유형(드라마 및 영화 활용, 신체적 활동, 집단 내 학습)이 학습성과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봄 으로써 VR 한국어 교육 방식에 적합한 학습자 유형에 대한 분석도 진행하 였다.
 이를 위하여 아시아계 외국인 유학생 53명을 대상으로 VR 기반 한국어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지 검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의 항목 별 측정 도구는 학습 내용 이해도, 학습 몰입도, 학습 불안감, 학습 효능감, 학습 만족도, 학습유형을 선정하였으며 가설 확인을 위해 집단 간 분석 (T-test) 및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VR 기반 한국어 교육 방식이 기존 한국어 교육 방식 보다 학습자의 학습 몰입도 향상, 학습 불안감 감소, 학습 효능감 향상에서 는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VR 기반 한국어 교육 방식은 집 단 내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드러났다.
 VR 기반 한국어 교육은 한국어 교육에 대한 집중력이 낮은 학습자, 한국 어 교육에 대한 불안감이 있는 학습자, 한국어 교육에 대한 효능감이 낮은 학습자, 집단으로 교육받는 것을 선호하는 학습자를 위하여 VR 환경을 조 성해 한국어 교육에 도움을 주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아시아계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VR 기반 한국어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했다는 점과 학습자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 점으로 앞으로 좀 더 다양한 변인을 통한 VR 한국어 교육의 효과성을 분 석하는 연구가 뒤따를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R-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design a VR-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optimized for the learning situation and learning type of learners. At the same tim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learners' learning types (drama and movie utilization, physical activity, and learning within a group) on learning outcome factor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learner types suitable for VR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test was conducted on 53 Asian foreign student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VR-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measurement tools for each item in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or learning content understanding, learning immersion, learning anxiety, learning 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type, and T-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hypothe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VR-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learning immersion, reducing learning anxiety, and improving learning efficacy tha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In addition, the VR-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was revealed as a suitable method for learners who prefer learning within a group.
 VR-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considered to help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reating a VR environment for learners with low concentration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with anxiety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with low effic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ers who prefer to be educated in groups. This study is of great research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VR-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sian foreign learners, which was not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and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the learner type. Starting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will follow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V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more diverse variables in the future.

저자                              김동윤(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김영상 (연세대학교)

                                     유훈식(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디자인융복합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디자인융복합연구

                                     제21권 제2호

                                     17 - 36 (2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