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이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 충격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문화 충격 사례를 범주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범주화된 질문 영역은 외연적인 요인에는 음주 문화, 음식 문화, 의복 문화로 구분하였으며, 내면적인 요인에는 예절 문화, 가치 문화, 정서 문화로 구분하였다. 범주화된 질문 영역을 통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의 결과 도출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이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문화 충격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연적인 영역에서는 첫째, 한국 사람들이 술을 많이 마시는 것에 대한 의아함을 표현했다. 둘째, 돼지고기를 많이 먹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셋째, 한국 사람들은 지나치게 외모를 중시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다음으로 내면적인 영역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우즈벡 학생들은 한국 사람들이 웃어른을 공경하지 않는 것과 외부인에게는 불친절한 것에 대해 언급했다. 반면에 한국은 남성과 여성의 지위가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문화 충격의 사례를 실제 대상자들의 목소리를 통한 양상을 분석하였다는 것에는 의의가 있으나, 이것으로 인한 교육 방안이나 시사점을 도출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cultural shock that Uzbek students experience in adapting to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1 Uzbek students to categorize their reported instances of culture shock.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drinking culture, food culture, and clothing culture for external factors, while the internal factors were divided into etiquette culture, value culture, and emotion culture.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based on the categorized question areas. The following aspects of culture shock experienced by Uzbek students in Korean society were deriv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First of all, in the external realm, the students expressed wonder at Koreans’ heavy drinking culture. Second,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avoiding the consumption of pork, a practice of their Muslim faith. Third, they felt that Koreans place too much emphasis on appearance. Next, on the negative side of the inner circle, Uzbek students mentioned that they felt Koreans do not respect their elders and that they are unfriendly to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y commented positively on the status of men and women in Korea, which they perceived to be equal. Alth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aspects of Uzbek students’ culture shock through the voices of the actual subjects, it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suggest educational methods or implications for education.

저자                                민혜경(울산대학교),

                                      이영희(부산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발행연도                         2020.8


형태사항                         한국민족문화 제76호

                                      321 - 350(3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