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2007년 국내 고등교육기관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4만 9 천 여명을 넘어섰다. 국내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게 된 것은 전 세계적 으로 유학생의 확대 양상이 나타나면서 한국 정부에서도 유학생의 유치에 적 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이다. 외국인 유학생의 급증현상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외국인 유학생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증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에 관한 논의들이 몇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유학생의 유치를 위한 전략 또는 유 학생의 학업적 적응, 문화적 적응과 같은 단편적인 측면에서의 적응만을 조사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이주의 전 과정을 고찰해 보기 위하여 이주의 원인과 적응과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관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 구는 대구ㆍ경북지역의 대학을 사례로 선정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의 원인을 분석하고 유학생의 국내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며, 또한 지역사회 적응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간략히 제시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국제이주의 원인을 분석하 였다. 국제이주의 원인은 3가지 차원에서 살펴 볼 수 있는데, 세계적 차원, 국 가적 차원, 개인 행태적 차원에서의 이주원인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외국 인 유학생의 국제이주는 이들 세 가지 측면의 이주 요소들의 개별적이라기 보 다 거시적 배경과 개인의 행태적 차원이 상호 연계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라 고 할 수 있다.
또한 국제이주 이후의 만족도를 고찰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이주 후 유 입국에서의 적응을 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후 지역사회 적응을 위 한 환경으로는 대학 내 학교지원활동, 수업ㆍ연구활동,교류활동으로 구성되 고, 지역사회 적응에는 지역사회 내에서의 사회복리활동, 생존유지활동, 사회 공간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공간적 분포 특성은 유학생 유입 초기단계에는 수도권에 압도적으로 많이 이루였으나, 그 후 수도권의 집중현상은 점차 완화 되고 있다. 이는 비수도권 지역의 대학들이 정원 확보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 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동을 추진한 결과이다.
둘째, 설문조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원인으로 거시적 차원의 배출-흡인 요소 보다는 미시적 차원의 배출-흡인요소가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 유학생은 그들이 의식하는 개인적 동기요인들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 실제로 거시적 차원의 배출- 흡인 요소도 무의식적으로 영향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지만, 크게 의식되지 않았다고 하겠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각 요소별 적응은 개인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특히 한국어 구사능력이 높고 한국인 친구의 수가 많을 수록 대학 및 지역사회에서 적응하기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학 생활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정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에서 느끼는 정체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으로서 정체성이 높게 형성된 외국인 유학생에게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적응에 대한 대책과 제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과정 중 유학생은 정보가 부족하고 높은 중개비용으 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의 홍보 방법은 대부분 유학박람회를 통한 대학 소개와 같은 획일적인 방법에 한정되어 있다.실질적으로 외국인 유학생이 필 요로 하는 다양하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성공적인 유학사례 를 중심으로 유학정보를 제공하는 홍보 전략을 필요로 한다. 유학원 및 유학 중개업체에 대해서도 우수 유학원에 대한 인증제,유학원 허가제도 등의 적절 한 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을 단기적으로 이주하는 유학생의 관점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차원에서 지역사회 구성원임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원인을 알고 이들을 국가 내에서 전 문인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로 취업활동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비자 전환이 요구된다.
유학생이 실제로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 역사회를 바로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대학 내에서 유학생을 대상 으로 지역사회의 역사, 지리, 문화 등의 강좌를 개설하여 지역사회의 이해를 돕도록 해야 한다. 정부나 대학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외국인 유학 생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 내국인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편견을 줄이기 위해 다문화 축제 등을 개최하여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내국인의 바른 이해를 도와야 한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이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도 록 지역사회에서 이들을 인정하고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하는 분위기를 형성 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는 외국인 유학생 유입의 초기단계로 유학생이 지 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지만, 앞으로 외국인 유학 생들이 급속히 증가하면 이들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나 지역민들과 접촉 할 수 있는 기회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의 유입 원인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 특성에 대한 제안으로써 지역사회, 정부 및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유학생이 유입 된 이후 지역사회 내에서의 동화와 갈등 과정을 통해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지 역사회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domestic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in South Korea exceeded 49,000 in 2007. One of reaso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rapidly increased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is actively involved in attracting foreign students as the number of student studying abroad increased world-widely. One reason to pay attention to the rapid expansion of foreign students is that the impact of them on local community also becomes greater as their proportion increases. Under this circumstance, considerable discussions concerning them from several aspects have been undertaken. However, most of researches are limited to partial aspects of either strateg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or their academic and cultural adaptation
The perspective to look into the causes of foreign students’ migration and adaptation process in more integrative way also seems to be significant in examining their whole process of migration.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nd intends to analyze the migration caus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patial distribution, to examine their adaptational patterns and finally to suggest some measures for them.
In order to examine foreign students’ international migration, causes for the migration analyzed first. The causes can be examined on 3 dimensions, which are the global dimension, the national dimension, and the individual-behavioral dimension.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f foreign students can be seen as a phenomenon which is not caused by a single dimension but by interactions of the macro level of situational dimension and the individual level of behavioral dimension.
In addition, adaptation to the migrated country is analyzed to examine two aspects of their satisfaction in everyday life in local community after their international migration. The environment for their adaptation within their university after their migration consisted of supports from their university, class/research activities and interchange activities. Their adaptation to local community outside the campus was also classified into welfare activities, surviv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in their local community.
The study results based on thes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for foreign students’ spatial distributio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 was where foreign students are most frequently located at the early stage of their migration. However, the distributional concentration in Seoul has been loosened afterwards, which can be seem as a result of active promotional effort of the universities in other area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in securing their quorum.
Secondly,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macro level of push-out/pull-in factors has a greater impact on foreign students’ migration than the micro level of them. That is, foreign students perceive that they are more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motivation factors they are aware of. Although the macro level of push-out/pull-in factors may, in fact, unconsciously influence on them, they seem not perceived as high as it may be.
Thirdly, the adaptation patterns across each dimension show individual differences. In particular, the foreign students who have a higher Korean language ability and more Korean friends show a better adapt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ith higher adaptation level to the life of study abroad and local community have a higher level of perceived identity as a member of their local community, through which a contribution of those foreign students with higher identity as a community member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may be anticip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sures and suggestions concerning foreign students’ migration and adaptation are as follows: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of foreign students, they are suffering from lack of information and a high agency cost. Most of governmental promotions are limited to such uniformed manner as presentation of universities through studying-sbroad fair. Various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s that meet their practical need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In addition, promotional strategies to provide information focusing on successful cases in studying abroad are also required. As for the institutes for studying-abroad or agencies,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excellent institutes or authorization system for agenci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farsighted viewpoint that foreign students are perceived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and deviated from the shortsighted viewpoint to regard foreign students as short-term staying migrants,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complemented. In addition,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causes for foreign students’ migration, measures to utilize their professional manpower in domestic industries should be complemented, for which visa transference to support their employment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ir adaptation level to local community, foreign students in Korea have to acquire adequate knowledge of their local community. As a measure for this, universities need to open classes of local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for foreign students and help them have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ir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the government or the university also has to care the foreign students. Events such as multicultural fair to reduce prejudice of domestic residents against foreign students may be held to help domestic residents appropriately understand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the local community ha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which accepts the foreign students as a member of their local community and encourages their spontaneous participation.
Although the impact of foreign students on local community has been little since Korea is at the early stage of foreign student inflow, it is anticipated that their impact on local community or their contacts with local residents will increase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rapidly grows. In a preparation for this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suggestions in the causes for foreign student inflow and their adaptational characteristics to local communit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local community, government, and universities in attracting and supporting foreign students. Future researches may study more specific change patterns of local community arising from the assimilation and conflict process of foreign students after their settlement in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