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로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H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으로 100명의 응답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한국어와 한국문화 각각에 대한 요구보다는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모두 학습하는 것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를 취업 또는 대학원 진학에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문화 경험과 관련해서는 드라마와 영화, 한국음식이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와 관련해서는 드라마와 김치, 다음이 K-POP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요구에서는 전통보다는 현대문화, 배우고 싶은 문화요소에서는 한국인의 일상생활과 관련한 문화, 선호하는 교육방식은 강의와 체험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세부적인 교육내용에서는 한국인의 생활영역에서 의·식·주생활, 계절활동, 경제활동이 가장 높은 선택 비율을 나타냈으며, 예술과 문화영역 중 영화/드라마/연극/ K-POP 등도 높은 선택비율을 나타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에서의 실제적인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목적에 맞게 진로지도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수업방법에 대해서도 학생들의 요구와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With increasing ratio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colleges it has become important to operate a curriculum reflecting their demands at least for their continued com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operating such a curriculum, based on the survey of their needs for adaptation to life in Korea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Korean-language education.
 On the subject of foreign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located in C city, result of answers from a hundred students was finally used for analysis. Consequently, the students showed higher demands for learning both Korean and Korean culture than for each of them. They revealed a high demand for learning Korean to get a job or go on to graduate school.
 As to experienced Korean culture, drama, film and Korean food all appeared high on a similar level and the first image coming to mind from ‘Korea’ turned out to be drama, Kimchi and K-Pop in the order. As to Korean culture education, they showed a higher demand for modern culture than traditional culture. For Culture elements wanted to learn, culture related to Koreans’ daily life came first, and for preferred teaching method, lecture and hands-on experience showe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Besides, along with culture education meeting the demands from foreign students, there should be efforts for career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too, should be accompanied by research made on the students’ demands and effectiveness.

저자                                신소영, 유승금(한림대학교)


발행기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발행연도                         2020.3


형태사항                         인문과학연구

                                      인문과학연구 제64집

                                      5 - 27(23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