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를 덮치면서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국내 대학(원)에서 유학 중이거나 차후 유학을 희망하는 외국인 학생의 수는 확대일로를 걸어왔다. 2016년 4월 1일만 하더라도 104,262명이었던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숫자가 2019년 같은 날에는 213,005명으로 증가했다는 교육부의 통계는 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지표일 터다.
 그런데 한국의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생의 유학생활을 충실히 지원할 수 있는 수준의 교육 내용과 방법론을 마련하였을까?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연구자들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을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고, 다수의 연구자가 이들의 대학생활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어 능력의 부족이 적응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임을 도출하는 한편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꾸준히 제시해 왔음에도 외국인 유학생들이 느끼는 한계와 어려움은 크게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심지어 ‘쓰기’에 관한 부담은 날로 증가하는 경향마저 없지 않다.
 논자는 이상의 문제의식과 ‘쓰기’에 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소박한 생각에서 대구한의대학교 교양필수 교과목인 ≪소통하는 글쓰기≫ 외국인 유학생 전용 분반을 운영하는 동안 체감하였던 한계와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과정 중심 쓰기 교수법을 단계별로 세분화하고 보완한 열린교수학습법 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한편, 수업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구체적인 쓰기 원리와 표현 항목을 차후에라도 교육하고자 PBL을 적용한 교양 글쓰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준과 능력을 고려한 교양 글쓰기 수업방법을 검토하고, 기존의 정책연구들과 교수법연구모임으로 축적한 성과를 정리, 확산하는 시도라는 점에서도 의미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ter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s increasing rapidly, they still experience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heterogeneity, making it difficult to adapt to college life. In addition, most domestic universities operate Korean, culture, history, and philosophy for foreign students as cultural subjects, but research on custom-made professor designs has not been conducted properly. Considering the fact that foreign students attend secondary education courses in a culture different from Korea and have different levels of background knowledge from Korean students, and that their Korean ability is limited, universities should accelerate the design of differentiated professors such as educational writing materials, teaching methods, and feedback that take into account the level and abilities of foreign students into account for their majors in mathematics.
 Therefor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aim and meaning of presenting the limits and solutions that the administration of the special division for foreign students at Daegu National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worries, they presented an educational writing plan using PBL, which enables learners to participate in writing actively and proactively and solve practical and unstructured problems with colleagues. Of course, the proposal for this study is only a prototype because of the lack of a full class in the city of Qorona, but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how to teach liberal arts writing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and ability of foreign students.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on how to study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at the Korean Medical School, and it also means that the results of existing policy research and method research groups will be summarized and distributed.

저자                                강민희(大邱韓醫大學校)


발행기관                         동아인문학회


발행연도                         2020.6


형태사항                         동아인문학

                                      東亞人文學 第51輯

                                      315 - 336(22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