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어 교육에서 쓰기 교육의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글의 장르와 그 교육에 대한 논의는 현재까지 가장 큰 화두가 되는 주제이다. 그리고 학술적 글쓰기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과거에도 현재에도 한국어 쓰기 교육 내 가장 큰 연구 주제가 되었다. 학술적 글쓰기는 작문의 한 영역으로, 문예적 글쓰기와는 물론이고 실용적 글쓰기와도 확연히 구분되는 영역이다. 특정 학문 주제 또는 연구 문제에 대한 일련의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그 내용은 일반적으로 해당 주제의 주장 및 견해, 문제의 사안에 대해 파악하여 해당 주장 및 견해를 비판하거나 새로운 시각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통칭 외국인 유학생은 그 용어 그대로 학문 수양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한다.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활용해 학술적 글쓰기를 수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필연적으로 분석적 글쓰기라는 과제에 당면하게 된다.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주어지는 분석적 글쓰기라는 과제란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문제들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 학술적 글쓰기 과제로 분석적 글쓰기를 접하게 되었을 때 교육은 어떤 부분에 주의하며 이루어져야 하는지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Since the discussion of Korean writing education began in earnest, the biggest topic of conversation has been genre writing education. And academic writ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n the past and present days as demand for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Academic writing is an area of writing, which is distinct from literary writing as well as practical writing. It takes place with a set of information provided on a particular academic topic or research problem, which generally includes arguments and views on the subject, analyses and criticisms of the issue in question, and alternatives for new perspectives and problem solving.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learn Korean for the purpose of academic training. Academic-purpose Korean learners will use the Korean language to write academic articles, and inevitably carry out analytical writing tasks in the process.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is the task of analytical writing given to foreign students and to grasp the research problems necessary to educate them. When foreign students encountered analytical writing as an academic writing task, they wanted to clarify what areas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attention.

저자                                이선중(경희대학교),

                                      황성은(배제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콘텐츠학회


발행연도                         2020.7


형태사항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7호

                                      제20권 제7호

                                      256 - 262(7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