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세계화로 인해 한국의 연구자들은 세계에서 통용되는 한국사 지식이라는 좀 더 넓은 범주에서 한국사를 고민하고 소통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학계에서도 한국사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북미의 학계에서 한국사 연구가 어떻게 되고 있는지를 북미 대학원 교육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을 모두 경험한 유학생 출신 연구자들을 인터뷰하여 이들이 경험한 북미 대학원 한국사 프로그램의 특성,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 및 조건 등을 검토하고, 북미 한국사학계와 한국 사학계의 접점 및 교류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미의 대학원생들이 세계사와 한국사의 접점을 고민하고 연구주제를 동아시아학 및 인문학 내의 상위주제와 연결하기 위한 훈련을 거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북미의 한국사학계는 동아시아 학계 내에서도 주변부에 고립되어 있고 한국사 전문 연구자가 부족하다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한국사를 세계사적 맥락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북미 한국사학계의 고민의 지점들은 한국의 연구자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고, 반대로 한국 역사학계의 철저한 사료검토, 시기별 주제별로 축적된 다양하고 심도있는 연구들은 동료전문가들이 부족한 북미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양쪽 학계의 교류는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With globalization, scholars in Korean history are grappling with the task of contributing to the larger global knowledge of Korean history as well as of exploring the ways of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which necessitates the understanding of how Korean history is being researched outside of Korea. This article focused on the academic training of the Korean history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s in North America, the most prolific site of knowledge production of Korean history outside of Korea. By interviewing seven researchers in Korean history who experienced both Korean and North American graduate schools, it examined the strengths, weaknesses, prospects of the programs and explored the possible intellectual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cademia.
  The article points out that the graduate students in the Korean history programs at North American universities are trained to articulate their works within the debates of the university’s broader intellectual community mostly due to their marginalized position within the university while suffering from the lack of colleagues, difficult job market, and isolation of the field itself. The article argues that intellectual interaction among the graduate students in North America and Korea can benefit both academia. The perspective gained through the academic training that emphasizes the analysis of Korean historical experiences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global history can inspire graduate students in Korea while the rigorous examination of primary sources and the sheer amount of research in various topics can enrich the works of graduate students in North America.


저자                                오상미(연세대학교)


발행기관                         역사비평사


발행연도                         2021.02


형태사항                         역사비평 2021년 봄호(통권 제134호)

                                      281 - 310(3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