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중국인 학부생 90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본고에서 실시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은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가 협력적인 과제수행을 할 때,필요한 역량을 말한다.조사에는 유지원(2016)에서 개발한 대학생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설문 도구를 활용하였다.이 검사지는 하위에 각각,‘문제해결 역량’,‘사회적 협력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등 세 가지역량과 총 11의 세부 요인을 설정하고 있다.본고에서도 이 세 역량을 중심으로,중국인 학부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을 살펴보았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세 역량 중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다른 두 역량의 평균은 비슷한 수준이었다.학습자들이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신감이 다소 부족한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둘째,가장 평균이 높은 문항은 41번 ‘팀 활동에서 팀원 전체가 한 명도 빠짐없이 참여와 기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이다.학습자들이 생각하는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가장 기본 요소는 팀원들의 동등한 지위와 참여인 것을 알 수 있다.셋째,남학생의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았다.특히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서의 평균이 남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한국어 숙달도가 상승할수록 역량의 전체 평균도 함께 상승했으나,디지털 리터러시는 5급에서 6급 수준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졌다.다양한 과제를 접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교육적 필요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넷째,11개 하위 요인 중 다른 요인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요인은 6번 ‘명확한 소통과 책임감 있는 수행’ 요인이고,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3번 ‘협력적 문제 해결안 도출 및 의사결정’ 요인,6번 ‘명확한 소통과 책임감 있는 수행’,7번 요인 ‘공감,배려’ 요인이다.이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개인적 차원의 인지 활동에서보다 협력적 과제수행에서 더욱 요구가 높아지는 역량으로,팀 활동 중 상호소통하고 협력적 의사결정 활동을 수행할 때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이 더욱 필요한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이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이 된 배경에는 디지털 기반 사회의 특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도 이를 수용하여 학습자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함양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증진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f 90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ducted in this paper refer to the capabilities required when learners perform collaborative tasks in a digital literacy-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urvey utilizes a coope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survey tool developed by Yoo Ji-won (2016). The test paper sets three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Performance,” “Social Collaboration Competency,” and “Digital literacy” with a total of 11 detailed factors at each lower level. Focusing on these three competencies, the study then examined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the three competencies, the average of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was the lowest. The mean of the other two competencies was similar. It can be thought that learners lack confidence in using digital devices. Second, the highest average question out of the total 54 questions is 41, which is “I think it is important for the whole team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in every team activity.” It can be seen that for learners, the most basic element of thei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is the equal status and participation of team members. Third,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in digital literacy skills is high. In addition, as the Korean proficiency increased, the overall average of competency also rose, but the digital literacy level gradually decreased as the language proficiency went from level 5 to level 6.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al need for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increases as we encounter various challenges. Fourth, among the 11 factors, the most correlated factor is the sixth “Clear Communication and Responsible Performance” factor.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re the third “Collaborative problem solution and Decision Making” and the sixth and seventh “Sympathy and Consideration”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digital literacy is more demanding in performing collaborative tasks situations than in individual cognitive activities, i.e., more digital literacy is needed with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activities during team activities.




저자                                전형길(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발행연도                         2021.04


형태사항                         리터러시연구 제12권 제2호

                                      233 - 263(31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