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2007년 국내 고등교육기관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4만 9천여명을 넘어섰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에 관한 논의들이 몇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유학생의 유치를 위한 전략 또는 유학생의 학업적 적응, 문화적 적응과 같은 단편적인 측면에서의 적응만을 조사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에 관한 논의들이 몇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유학생의 유치를 위한 전략 또는 유학생의 학업적 적응, 문화적 적응과 같은 단편적인 측면에서의 적응만을 조사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공간적 분포 특성은 유학생 유입 초기단계에는 수도권에 압도적으로 많이 이루였으나, 그 후 수도권의 집중현상은 점차 완화되고 있다. 둘째, 설문조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원인으로 거시적 차원의 배출-흡인 요소 보다는 미시적 차원의 배출-흡인요소가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각 요소별 적응은 개인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특히 한국어 구사능력이 높고 한국인 친구의 수가 많을 수록 대학 및 지역사회에서 적응하기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학생활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정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에서 느끼는 정체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으로서 정체성이 높게 형성된 외국인 유학생에게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domestic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in South Korea exceeded 49,000 in 2007. One reason to pay attention to the rapid expansion of foreign students is that the impact of them on local community also becomes greater as their proportion increases. Under this circumstance, considerable discussions concerning them from several aspects have been undertaken. However, most of researches are limited to partial aspects of either strateg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or their academic and cultural adaptation.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nd intends to analyze the migration caus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patial distribution, to examine their adaptational patterns and finally to suggest some measures for them. The study results based on thes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for foreign students’ spatial distributio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 was where foreign students are most frequently located at the early stage of their migration. Secondly,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macro level of push-out/pull-in factors has a greater impact on foreign students’ migration than the micro level of them. Thirdly, the adaptation patterns across each dimension show individual differences. In particular, the foreign students who have a higher Korean language ability and more Korean friends show a better adapt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ith higher adaptation level to the life of study abroad and local community have a higher level of perceived identity as a member of their local community, through which a contribution of those foreign students with higher identity as a community member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may be anticip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