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초국가주의는 오늘날의 국제 이주자, 특히 그들의 사회경제적 네트워크와 유연한 문화적 정체성을 설명하는 데에 주요한 개념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주체의 공간적 이동성과 그들의 비공간적 네트워크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이들이 본국과 정주국에서의 사회문화적 관계와 어떻게 복잡하게 얽혀있고 뿌리내리고 있는가를 종종 간과해왔다. 본 논문은 이론적 논의에 토대를 두고 초국가주의라는 개념에 내재된 잠재적 위험들을 설명하면서, 어떻게 인문지리학적 관점이 국제 이주의 초국적 현상에 대한 설명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가늠한다. 첫 번째 절에서는 초국가주의에 관한 논의를 간략히 개요한다. 후반부의 세 절에서는 초국가주의 연구들이 초국적 현상의 다양성과 민족국가와의 관계, 초국적 이주자 집단의 이질성, 초국가주의의 국가적(민족적) 접합과 전유의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Transnationalism has become a key concept in explicating contemporary international migrants, especially their socio-economic networks and flexible cultural identities. Yet, recent celebration of subjects? spatial mobility and their aspatial networks have often downplayed how transnational migrants are conjoined and embedded in complicated socio-cultural relations in both home and hosting societies. Driven by theoretical problematic, this paper investigates potential dangers internalized in the concept ?transnationalism? and how human geographic perspective could contribute to explicating transnational phenomena.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examines the notion of transnationalism, approaches a wide range of transnational scholarship, and illustrates how it has been conducive to current migration studies. The following three sections focus on potential dangers imbibed in transnational studies, arguing it neglects diversity of transnational phenomena, heterogeneity of transnational migrants, national articulation of transnat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