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세계시민주의가 주요한 논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미 세계시민주의는 한국 교육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세계시민 주의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본 논문은 세계시민주의가 헬레니즘시 대에 어떻게 등장했고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밝힘으로써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세계시민 주의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헬레니즘 세계시민주의는 대체로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교육이 인류사회 의 세계시민임과 동시에 한국이라는 특정한 국가시민이라는 정체성을 함께 추구한다는 점에 서,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세계시민주의는 로마시대 스토아학파의 세계시민주의와 유사하다. 하지만 스토아 세계시민주의는 우주가 이성적 원리에 의해 생성되었다는 이성주의 형이상학에 기초해 있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의문시되며,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인류 일반의 관계를 하나 의 동심원적 구조로 간주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다양한 공동체의 다중적 동심원 구조를 설명하 지 못한다. 따라서 철저한 합리주의에 기반한 스토아학파의 일원적 세계시민주의는 복수의 공동체에 도덕적 가치를 부여하는 다원적 세계시민주의로 대체되어야 할 듯하다.

Recently, cosmopolitanism has become major object of discussion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it is already one of main targets of Korean education. Nevertheless, it is unclear what exactly is the cosmopolitanism we pursue. This paper tries to raise a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cosmopolitanism we are after, analyzing the origin and various meanings of cosmopolitanism in the Hellenistic period. The Hellenistic cosmopolitanism can be classified as five categories. The cosmopolitanism in Korean education is similar to cosmopolitanism of Roman Stoics, as far as Korean education pursues not only a cosmopolitan ideal but also the specific identity of Korean society. But Stoic cosmopolitanism fails to persuade us in that it is based on the metaphysical assumption that the universe is created by rational principle. Moreover, Stoic cosmopolitanism cannot explain multi-centric circles of modern world, because it regards the relation among individual human being, nation and humanity as co-centric circles. Finally, we have to replace the monistic cosmopolitanism of Stoics based entirely on rationality with a pluralistic cosmopolitanism that grants moral values to various human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