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본래의 목적인 학업 수행을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학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의 해결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와 장치를 대학에서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외국인 유학생이 성공적으로 대학생활을 적응하고 마치기 위한 필수 요건인 대학생활 적응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연구의 절차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조사 항목을 도출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이론과 교육서비스마케팅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어려움 가운데 문화부적응이 큰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학습자 요인의 사회문화적 요인 중 하나인 문화적응이론을 살펴보았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함께 외국인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유학생활의 성패를 좌우하는 대학생활 적응이론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교육서비스마케팅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예비조사를 통해 도출한 지원 항목을 기준으로 국내외 정부 및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 현황을 조사하였다. 먼저 한국 전체의 외국인 유학생 현황 및 정부의 정책을 살펴보고, 각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 현황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외국인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8개 대학에 대해서는 심층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외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 현황은 외국인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국가인 미국과, 학위 과정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호주, 우리나라와 외국인 유학생 발전 현황이 흡사하고 현재 가장 적극적으로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일본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3장의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들이 보다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외국인 유학생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적극적인 학사 관리, 장학금 제도 개편, 기숙사 지원 확충, 문화 교류 및 커뮤니티 지원 확대, 취업 관련 지원에 대한 방안을 논의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장인 5장에서는 본 논문의 의의를 논하고 후행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The study aims to focus on providing basic resources needed to establish university policies and measures to help foreign students adapt and to achieve their goals.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Chapter one provides needs and purpose for the study and reviews existing literature that provides ways to overcome acculturation stress felt by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It also covers research methods and the need for such study was confirmed and research topics were derived.
Chapter two reviews theory on acculturation stress and education service marketing. Based on findings that show cultural adaptation as the most difficult obstacle for foreign students, the study examined cultural adaptation, one of the socio-cultural factors, and university adaptation theory which determines successful study abroad. It also examined educational service marketing theory in order to find effective supporting measures.
Chapter three examines actual support provided for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First, the study examined government policies and trends for foreign students as well as existing university support for the students. Eight universities that had the most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nd implemented the needs assessment. The study also examined various countries and their support for foreign students: the United Stat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foreign students; Australia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foreign students in degree programs and Japan which shared similar trends of foreign students in South Korea and support level were reviewed.
Chapter four examines the results discussed in chapter three and offers effective measures to support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Discussions on student academic management, scholarship policies, dormitory and student housing management, cultural exchange and community support and employment issues are included.
Lastly chapter five discusses the rationale for the study and makes various proposals based on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