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학문 목적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문학교육에 대해 논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 열린 인문적 학습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문학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수자 중심의 정해진 답을 찾아내는 지식 습득의 장이 아닌,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이 작품을 매개로 자유롭게 상호 교류하는 소통의 장이 구성될 때 문학에 대한 적극적인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삶과 인간, 세계에 대해서 성찰하는 문학적 경험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바흐친 사상의 핵심 개념인 ‘대화주의’를 방법론으로 하여, 학문 목적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문학작품의 이해와 감상을 통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성찰하며 타인과 세계와의 소통을 이루어내는 문학교육의 장을 구성해 보고자 했다. 대화주의 문학교육이란 작품 감상을 통해 스스로와 대화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조정하는 일이자, 타인과 대화하는 과정에서 작품과 삶의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일이라 할 것이다.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감상과 이해는 이러한 대화적 과정 안에서 지속될 때 가능하다. 특히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의 언어와 문화의 외부에 존재하며 이질적인 시선을 가진 존재로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문학교육은 이들이 지닌 외부적인 시선을 유지한 채로 작품과 상호소통하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즉, 한국의 문학을 ‘설명’의 대상(지식)으로 삼지 않고, 자국의 언어문화와의 대화를 통해 ‘이해’의 대상으로 삼는 과정이 필요하다. 외국인 학습자는 한국문학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자국의 문학을 이해하고, 한국문학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위해서는 한국문학교육에서 대화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는 바흐친의 대화주의 개념에 바탕을 둔 수업의 모형을 <자기 질문을 통한 문제 인식 ⇒ 상호텍스트를 통한 분석과 해석 ⇒ 문학토의를 통한 이해와 공유 ⇒ 글쓰기를 통한 내면화>로 구상하여 『82년생 김지영』을 텍스트로 선정한 수업에 실제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한국과 모국의 사회·문화에 대해 비판적·확장적으로 이해하고 상호문화 감수성을 함양하며 사회변화를 위한 실천 의지를 직접적인 행위로 옮기는 주체적 참여자로서의 위치를 획득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학교육 방법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 discussion about literatur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with academic purposes. More activ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prospect of open humanistic study in Korea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with academic purposes. When a venue of communication is created where learners from variou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engage in free mutual exchanges via literary works instead of a venue of knowledge acquisition to find fixed teacher-centric answers, it will allow for the active appreciation of literature and literary experiences to reflect on life, human beings, and the worl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set out to create a venue for literature education where international students with academic purposes would reflect on their lives in a self-initiated way and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he world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by employing the methodology of "dialogism,"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Bakhtin ideas.
 Dialogism-based literature education helps students check and adjust their identities by appreciating a work and having a dialog with themselves and also constructing the meanings of work and life in a process of talking with others. The profound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work are possible only when it continues in this conversational process. International students, in particular, exist outside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have a heterogeneous viewpoint. Literatur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will require an approach to communicating with work while keeping their external viewpoint. In other words, there should be a process of taking Korean literature as an object of "understanding" through dialogs with their own language and culture instead of an object of "explanation"(knowledge). International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ir homelan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and take Korean literature as an object to interpret and assess. This education requires a dialogism-based approach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investigator set the stages of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Bakhtin's dialogism, and they include "reading a work and asking oneself a question" -> "reading an intertext" -> "having a literary discussion" -> "keeping a reflection journal." These stages were applied to real lessons in the text of Kim Jiyoung, Born 1982. The findings show that students acquired a position as independent participants to understand society and culture in a critical and expansive manner, cultivate their understanding of others and their sensibility of mutual culture, and translate their will to practice social changes to first-hand acts. These discuss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ethodology of literatur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저자                               나선혜 (순천대학교)


발행기관                        배달말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배달말

                                     제71호 통권 71호

                                     259 - 304 (46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