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외국인 유학생이 수학능력 부족으로 전공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필요한 교육이나지원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ADDIE 모형에 따라 교과목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단계에서는 유학생 학업 현황 선행연구, 외국인 유학생 및 유학생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학업적응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설계단계에서는 유학생에게 필요한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내용을 설계하였고 셋째, 개발단계에서는 수업 운영을 위한 수업 교재, 수업 자료 및 교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적용단계에서는 외국인유학생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시범운영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범운영 결과를 평가하고 개선할 점을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과목은 유학신입생들에게 대학 학업에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추후전공학업에서 조기적응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대학에는 중장기적으로 유학생의 중도 탈락을 낮추고 안정적인 유학생관리에도 기여할 것이다.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ir majors due to lack of academic ability, but the necessary education and support are lacking. For this reason, the cours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nalyze, Design,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model, and the detailed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stage, competencies necessary for academic adaptation were deriv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on previous studies, an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and stakeholders. Second, in the design stage, educational contents were designed based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ird, in the development stage, class materials and teaching plans were developed for class operation. Fourth, in the implementation stage, a semester-trial operation was conducted for first-year international students, and finally, the pilot operation result was evaluated and matters to be improved were reviewed. The course introduc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adapt to their major early by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necessary for university education. In addition, from the university standpoint, it can reduce the dropout rat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omote their stable management in the mid-to long-term.


저자                               이선영 (동국대학교)

                                     김순영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교육문화연구

                                     제28권 제6호 통권84호

                                     233 - 250 (18 pages)